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35 : 고구려 역사 18 (제15대 미천왕 ) 본문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한국의 역사 35 : 고구려 역사 18 (제15대 미천왕 )

두바퀴인생 2010. 10. 8. 02:47

 

 

 

한국의 역사 35 : 고구려 역사 18 (제15대 미천왕 )

 

 

제15대 미천왕(호양왕) 

  

 

 

       

 

 

 

 

미천왕(美川王, ?~331년, 재위 : 300년~331년)은 고구려의 제15대 군주이다. 이름은 을불(乙弗) 또는 을불리(乙弗利), 우불(憂弗) 등이 전해진다. 고추가(古鄒加) 돌고(咄固)의 아들이다. 호양왕(好壤王)이라고도 한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
History of Korea-476.PNG
476년 고구려 전성기 때의 지도
공용어 고대 한국어
수도 졸본 (기원전 37년 ~ 3년)
국내성 (3년 ~ 427년)
평양성 (427년 ~ 668년)
정치체제 군주제
인구 최대치
668년
69만호 (약 3,500,000명)
성립 기원전 37년
멸망 668년
초대 군주 동명성왕
기원전 37년 ~ 기원전 18년
최후 군주 보장왕
642년 ~ 668년
성립 이전 부여
해체 이후 발해, 신라

 

생애

293년 아버지 돌고가 형인 봉상왕에게 반역으로 몰려 죽음을 당하자 을불은 도망쳐 신분을 숨기고 고용살이와 소금장수 등을 전전하였다.

 

300년 국상 창조리(倉助利)가 봉상왕을 폐위할 마음을 품고 을불을 찾아 모셨으며 이후 봉상왕을 폐위한 뒤 왕으로 옹립되었다.

 

미천왕은 즉위 초부터 중국 군현 세력과 치열하게 대립하였다.

 

302년에는 현도군을 공격하여 적 8천여 명을 사로잡았으며

 

311년에는 서안평(西安平)을 점령하여 낙랑군(樂浪郡) 및 대방군(帶方郡)의 보급로를 끊는 데 성공하였다.

 

이에 따라 313년에는 낙랑군의 군벌 장통(張統)이 요동으로 퇴각하였으며

 

314년에는 대방군을 병합하여 중국 군현 세력을 축출하였다.

 

 317년에도 다시 현도성을 공격하였다.

 

중국 군현 세력이 축출된 이후 요서 지방에서 선비족(鮮卑族)의 일파인 모용부(慕容部)가 세력을 확대함에 따라 대립이 격화되기 시작했다.

 

318년 경, 서진(西晉)의 평주 자사(平州刺史) 최비(崔毖)의 작전에 따라 선비족의 다른 일파인 단부(段部)·우문부(宇文部)와 함께 모용외(慕容廆)를 공격하였는데 실패하였으며 이후 모용부가 요동을 장악하면서 본격적인 대립이 시작되었다.

 

319년에는 서진의 최비가 요동을 잃고 고구려로 도망쳐 왔으며 하성(河城)을 지키던 여노(如孥)가 모용부의 공격에 포로로 잡히기도 하였다.

 

이에 미천왕은 군사를 일으켜 요동을 공격하였으며 모용외 역시 두 아들을 보내 침략해 왔다. 이에 미천왕이 휴전을 청하여 잠시 휴전이 성립되었다.

 

320년 겨울에도 요동을 침략하였으며 이후 일진일퇴를 거듭하였다.

 

330년에는 후조(後趙)의 석륵(石勒)에게 사신을 보내 중국 방향에서 모용부를 견제하려 하기도 하였다.

 

331년에 서거하였으며 미천(美川)의 들에 장사지냈다.

 

342년에 고구려로 쳐들어온 전연(前燕)의 군대가 미천왕릉을 도굴하여 시신을 가져갔으며 고국원왕343년에 많은 공물을 바치고 시신을 돌려받았다.

 

가계

  • 왕후 주씨(周氏) : 342년모용황(慕容皝)에게 미천왕의 시신과 함께 포로로 끌려가 355년까지 인질로 고초를 겪었다.
    • 고사유(高斯由) : 고국원왕이다.
    • 고무(高武) : 343년, 고국원왕의 명을 받아 연나라군과 싸웠다. 고국원왕은 패하였지만, 고무는 승리하여 연나라는 돌아갔다. 이듬해인 343년에는 고국원왕이 연나라에 보낸 사신단을 이끌고 연나라에 다녀온다.

 

동시대 백제, 신라

 

 

 

고구려 왕 계보도 (삼국사기에 의거)


            해모수═╤═유화부인(하백의 딸)

                            │

            소서노═╤═ 1.추모(bc37~19)═╤═예씨부인

                           │                                        │

                        ┌┴┐          2.유리명왕(bc19~ad18)═╤═송양왕의 딸  

                    비류 온조                                        

                         ┌─┬─────┬────---┬────-┼─────------┐      

                       도절 해명 3.대무신왕(무휼) 여진 4.민중왕(해색주) 재사═╤═부여태후

                            (ad 19~ 44)               (44~48)                                        │

                          갈사국왕녀═╣  ╠═ 원비                             ┌──────┼─────---┐

                                           호동  5.모본왕(? ? ? ). 6.태조왕(궁)  7.차대왕(수성) 8.신대왕(백고)

                                     (49~53)          (54~146)     (146~165)    (165 ~ 179)

                                                                               ┌┴┐                  │                                │

                                                                           막덕   막근              추안                              ㅣ

                ┌────────---┬───────────┬────────────── ┴─--┐ 

            9.고국천왕(이이모)     발기                ╔═10.산상왕(연우)═╤═후녀(주통부인)     계수

       (179~197)║                                                  ║        (197~227)     │

                         ╚ 우씨왕후(우소의 딸)═══=====╝                   11.동천왕(교체)(227~248)

                                   ┌────────────────────--┼──┐

관나부인(장발미녀)══12.중천왕(연불)(248~270) ═╤═연씨왕후  예물  사구

                                                                                     │

   ┌───────┬───────────────------┴───┬──┬──l 

 (??) 13.서천왕(약로)(270~292) ═╤═우씨왕후(우수의 딸)  달가 일우 소발 공주(?)══명림홀도

                   ┌──────────--┴───-─┐                                                        (부마도위)

             14.봉상왕(상부)(292~300)                 돌고

                ┌┴┐                                                   │

               (?) (?)                                15.미천왕(을불)(301~331)

                                                                             ├───────────┐

                                                         16.고국원왕(사유)(331~371)            무

                                                ┌────────┴────┐

                          17.소수림왕(구부)(371~384)  18.고국양왕(이연)(384~391) 

                                                                                              │

                                                                            19.광개토대왕(담덕)(391~412)

                                                                                              │

                                                                            20.장수왕(거련)(413~491)

                                                                                              ├──────┐

                                                                                            조다                 승천

                                                                                             │

                                                                            21. 문자왕(나운)(491~519)

                                ┌──────────────────┴─────┐

  22.안장왕(흥안)(519~531)══한씨미녀                                   23.안원왕(보연)(531~545)  

                                                                                                                │

                                                                                                      24.양원왕(평성)(545~559)

                                                                                                                │                           

                                                                                                      25.평원왕(양성)(559~590)

                                                                      ┌────────────┼───────────┬──┐

                                                         26.영양왕(원)(590~618)  27.영류왕(건무)(618~642)    태양  평강공주══온달

                                                                                                                │                                    │                       (부마도위)

                                                                                                               환권                    28.보장왕(보장)(642~668)

                                                                                                                                   ┌──┬──┼──┬──┐

                                                                                                                                 복남   임무   덕남   덕무  안승

 

 

   자살,타살 등 일찍 죽은 왕자

   타살된 왕, ══ 부부관계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는 2대 유리왕의 아들이자, 6대 태조왕의 생부입니다.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돌고(固, ?~293)는 13대 서천왕의 차남으로 형인  14대 봉상왕에 의해 죽음을 당합니다. 15대 미천왕의 생부입니다.

 

. 장수왕의 아들조다(助多)는 생부인  20대  장수왕이  413~491년 오래 재위하는 바람에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먼저 죽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아들이  21대 문자왕(文咨王/?~519)으로  즉위하였습니다.

 

 

 

 

  

               

                BC 2333년 고조선 건국

                BC 108년 고조선 멸망.

                BC 37년 부여의 왕족 주몽, 남하하여 졸본에서 고구려건국

                BC 18년 주몽의 아들 온조(소서노와의 아들) 백제건국

                003년 유리왕(주몽의 첫째부인 아들) 압록강 국내성으로 천도.
                022년 고구려, 부여 공격 대소왕 전사.

                242년 고구려, 요동의 서안평 공격
                313년 고구려, 낙랑군 멸망시킴
                391년 광개토왕 즉위, 백제공격
                400년 광개토왕, 비려 후연 부여 말갈 정복. 내몽고까지 진출. 신라침범 왜구 격퇴.
                414년 장수왕 즉위
                427년 평양천도, 한강유역 정복
                433년 백제-신라 동맹
                475년 고구려, 백제공격 백제 웅진천도

                554년 백제-신라 동맹 결렬
                590년 고구려 온달장군 아차성에서 전사
                598년 수나라와 1차전쟁 승리, 고구려 강이식 요서선제공격, 수문제 30만 대군궤멸.
                612년 수나라와 2차전쟁 승리, 수양제 요동성,평양성,살수대첩에서 을지문덕에 패퇴
                613년 수나라와 3차전쟁 승리
                618년 수나라와 4차전쟁 승리, 수나라 멸망시킴
                618년 이세민 당나라 건국, 고구려-당 우호관계맺음
                630년 부여성-발해에 이르는 천리장성 축조
                642년 연개소문 고건무 죽이고 쿠데타, 대당 강경노선으로 급선회.
                642년 연개소문, 신라 김춘추를 사로잡아 감금하고 신라공격.
                645년 당나라와 1차전쟁 승리, 요동성전투 연개소문. 안시성전투 양만춘.
                647년 당나라와 2차전쟁 승리, 연개소문.
                648년 당나라와 3차전쟁 승리, 연개소문.
                648년 신라-당나라 연합
                660년 신라-당나라 연합군 백제 멸망시킴
                661년 당나라군 평양성 포위했으나 패퇴.
                666년 연개소문 병사. 세아들 내분. 남생 당에 투항, 남건 설인귀에 대패.
                668년 당나라군, 안시성 부여성 함락. 신라 문무왕 평양성 함락. 고구려 패망.
                669년 압록강 이북 32개성 당나라와 계속 전쟁 - 검모잠등
                676년 고구려 마지막왕 보장왕 말갈과 연합 고구려부흥운동 실패.
                696년 거란 이진충 반란, 북경포위 측천무후와 전투끝에 패퇴.
                696년 걸사비우,대걸중상,대조영 이해고의 당나라군과 격전, 요동에서 당축출. 걸사비우 전사.
                698년 대조영, 진국이라 칭하고 건국. 송화강 연해주까지 정벌.
                713년 당나라 대조영을 발해군왕으로 칭하며 화친 제의, 대조영은 고려국왕 연호사용
                719년 대조영 죽음.
                732년 고려국(발해) 무왕 당나라 산동반도 공격.
                733년 신라-당 연합군 고려국(발해)공격, 발해-돌궐-일본과 동맹. 나-당에 대항.
                907년 당나라 멸망.
                926년 고려국(발해) 멸망.
                935년 신라 멸망.

 

 

  

 제15대 미천왕 실록(?~331, 재위 300년 9월~331년 2월,30년 5개월)

 

 

                          

                                                    머슴이 된 왕손 을불 미천왕

 

 

머슴에서 왕이 된 왕손 을불

 

미천왕의 이름은 을불이다. 그는 서천왕의 차남이자 봉상왕의 아우인 돌고의 아들이다. 돌고는 293년 9월에 봉상왕의 의심을 받자 자결 명령을 받고 죽었다. 이 때 봉상왕은 아들 을불도 죽이려 하였지만 을불은 이를 눈치 채고 자취를 감춰버린다.

 

을불은 도주한 후 시골로 찿아 들었는데, 수실촌의 음모라는 사람의 집에서 머슴살이를 하였다. 주인은 심성이 고약한 사람이라 을불을 몹시 심하게 다루었다. 을불은 주인의 등살에 머슴살이를 채 1년을 넘기지 못하고 떠났다.

 

을불은 음모의 집에서 나온 뒤 동촌 사람 재모라는 사람과 같이 소금 장사를 하였다. 그는 압록에서 소금을 구해다가 주변 마을에 머물며 장사를 했다.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소금을 팔았기 때문에 거처가 일정하지 않았다. 을불은 한 노파로부터 신발 도둑으로 몰려 관가에 잡혀가서 소금도 빼았기고 매질까지 당하고 관가 문앞에 내팽개쳤다.

 

민간에 흉년이 들어 백성들이 서로 잡아먹는 지경이었기 때문에 온 거리에 거지가 넘처나고 있었다. 을불도 그들 거지 행렬에 끼어 동냥을 하며 가까스로 목숨을 부지하였다. 몰골은 말이 아니었으며 깡마르고 몸은 뼈만 앙상하게 남았으며 옷은 남루하고 머리카락은 지저분하게 헝클어져 있었다.

 

이런 그의 모습 때문에 아무도 그를 왕손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봉상왕이 미친 듯이 날뛰며 을불을 잡아들이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던 점을 감안하면 오히려 그의 남루한 행색과 형편없는 몰골은 도피생활에 도움이 되었던 것이다.

 

을불이 거지들 속에서 간신히 목숨을 부지하고 있을 무렵 궁중에서는 은밀히 반정 계획이 추진되고 있었다.

 

반정을 주도한 세력은 국상 창조리였다. 그는 봉상왕의 폐도를 더 이상 지켜 볼 수 없다는 판단을 하고 동지를 규합하고 있었다. 그리고 자신의 수하들을 시켜 을불을 찿게 했다. 반정에 성공하려면 반드시 왕손인 을불을 찿아야 했다.

 

창조리는 북부의 조불과 동부의 소우로 하여금 을불을 찿아오라고 명령하였다. 국상 창조리의 명을 받은 그들은 전국 각지를 돌아다니며 을불을 찿다가 비류수 근처에서 인상착의가 비슷한 인물을 발견했다. 비록 옷은 남루하고 몰골은 형편없었지만 행동거지가 예사롭지 않은 인물이었다.

 

넌지시 말을 걸면서 한적한 곳으로 데려가 다짜고짜로 절을 하였다.

"지금 왕이 무도하여 나라가 어지럽고 백성은 굶주리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국상께서 왕손을 찿아 새로운 시대를 열고자 하니 부디 허락하소서."

 

두 사람의 난데없는 행동에 을불은 당황했다. 하지만 혹 봉상왕이 보낸 사람들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시치미를 뗐다.

" 이보시오, 선비님들. 나는 거지외다. 나는 떠돌이 백성인데 나한테 어찌하여 당신들은 내게 절을 하며, 난데없는 소리를 하는거요?"

 

하지만 조불과 소우는 물러서지 않았다.

"저희는 국상께서 보낸 사람들로서 북부의 조불과 동부의 소우라고 합니다. 저희는 언젠가 먼발치에서 대군을 뵌 적이 있습니다. 부디 저희를 의심하지 마시고 함께 가셔야 합니다. 그래야 악행을 일삼고 있는 지금의 왕을 몰아내고 새로운 시대를 시작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조불과 소우가 이렇게 자신들의 신분을 밝히자, 그제서야 을불은 그들을 믿고 따라나섰다.

 

조불과 소우가 을불을 찿아왔다는 소식을 들은 창조리는 기뻐하며 을불을 조맥 남쪽 민가에 머물게 하였다. 그리고 일체 비밀에 부치고 조심스럽게 반정을 추진해 나갔다.

 

서기 300년 9월 창조리는 봉상왕과 함께 후산 북쪽으로 사냥을 나갔는데, 이 때 창조리는 반정 동지를 모아놓고 갓에 갈대를 꼿아서 반정군을 표시하고 군사를 동원하여 봉상왕의 호위병을 진압한 후에 봉상왕을 붙잡아 별궁에 가두고 을불을 대궐로 대려와 옥새를 바치고 새로운 왕으로 옹립하였다. 그 무렵 별궁에 갇혀 있던 봉상왕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그의 두 왕자도 자결하였다.

 

이렇게 하여 을불은 7년여 동안의 파란만장한 도피생활을 청산하고 마침내 고구려 제15대 미천왕에 올랐다.

 

               

 

미천왕의 팽창정책과 중원의 5호 16국 시대의 전개

 

미천왕이 왕위에 오를 무렵 중원을 통일한 진은 공중분해되고 있었다. 이른바 '8왕의 난'을 겪으면서 진은 스스로 침몰하였고, 이 틈을 노려 흉노, 선비 등이 다투어 중원으로 진출하여 나라를 세운다.

 

고구려 역시 이 상황을 놓치지 않고 과감한 팽창정책을 감행하여 영토확장을 통한 고토회복을 노리게 된다.

 

봉상왕이 폐위되고 미천왕이 즉위하자 고구려는 안정을 되찿았다. 조정은 국상 창조리를 중심으로 일사분란하게 움직였고, 미천왕은 오랫동안의 도피생활을 통해 백성들의 삶을 잘 아는지라 적극적으로 민심을 수습했다.

 


안학3호분(동수묘 혹은 미천왕릉)에 그려진 미천왕의 행차모습
*동수라는 귀족의 행차로 보기도 하지만, 전체적인 호위군사들의 무장정도와 의장대

깃발에 새겨진 성상이라는 글자가 임금을 존칭하는 표현이라는 주장이 우세하여

미천왕의 행차모습으로 간주하는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고구려가 안정을 되찿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중원은 큰 혼란에 빠져들고 있었다.

 

280년 중원을 통일한 사마염은 자신의 친족들을 왕으로 임명하여 전국 27개 지방의 제후로 파견하였고 왕실의 힘을 중앙집권식으로 강화했다. 그러나 사마염이 죽자 각 지방의 사마씨 제후들이 세력다툼을 벌이기 시작했다.

 

왕족들의 세력다툼은 사마염이 죽고 사마충이 즉위한 290년부터 본격화 되었다. 이의 발단은 외척인 가씨와 양씨 세력의 정권다툼에서 비롯되었다.

 

사마예가 즉위하자 외척인 양준과 양태후 부녀가 권력을 장악하였다. 이에 혜제의 왕후 가씨가 초 왕 사마위와 힘을 합쳐 양준을 비롯한 그의 친족들 수천 명을 죽였다. 그리고 여남 왕 사마량으로 하여금 혜제를 보필토록 했다. 그런데 기왕후는 사마량의 힘이 커지자 이를 두려워하여 사마위로 하여금 사마량을 죽이도록 하였다. 사마위가 사마량을 죽이자 기왕후는 사마위도 죽여 버린다.

 

기왕후에 의해 왕실이 쑥대밭이 되자 300년에 조 왕 사마윤이 군사를 일으켜 가후를 죽이고 정권을 장악했다. 그러나 이듬해 제 왕 사마경, 성도 왕 사마영, 하간 왕 사마웅 등이 계속 군사를 일으켜 사마윤을 살해했다.

 

                                                     

 

 

                                   

 

302년에는 사마영과 장사 왕 사마예가 동해 왕 사마월과 전쟁을 벌이다가 죽고, 결국 정권은 사마월의 손아귀로 들어간다. 정권을 장악한 사마월은 혜제를 독살하고 회제 사마지를 옹립함으로써 왕족간의 정권 다툼은 종결된다. 이렇게 16년 동안 왕실의 친족끼리 죽고 죽이는 정권다툼을 벌였는데, 이를 흔히 '팔왕의 난'이라고 한다.

 

진이 팔왕의 난으로 혼란을 겪고 있는 사이 전국 각지에서는 많은 반란사건이 일어나 주변의 소수 민족들이 나라를 세우기 시작한다.

 

저족들이 반란을 일으켜 광한과 성도를 점령하고 국호를 '대성'이라 칭하면서 스스로 성도 왕이라 했다. 흉노의 귀족 유연도 왕을 자칭하였는데 국호를 '한'이라 하고 평양(현재 소서성 임분시 주변)을 도읍으로 삼는다.

 

311년 유연은 아들 유총과 함께 낙양을 공격하여 마침내 점령하고, 316년에는 장안성을 무너뜨리고 회제와 민제를 사로잡아 진은 몰락하게 되면서 5호16국 시대가 전개된다

 

 




부월수(도끼병 -안학 3호분의 벽화, 이 무덤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에서는 동수묘로 보고 있으나

북한에서는 미천왕릉의 무덤으로 보기도 한다. 남,북측 어느쪽의 주장으로 보든 미천왕 시대에

조성된것만은 분명하다.)

이처럼 팔왕의 난 이후 진이 급격하게 몰락하는 상황에서 고구려의 미천왕은 고토회복의 절호의 기회로 판단하고 적극적인 영토확장 정책을 추구한다. 영토전쟁 초기에는 고구려가 강세를 보였다.

 

우선 미천왕은 재위 3년만인 302년, 고구려 건국 이래 당시까지는 최대규모였던 3만 대군을 동원하여 현도군을 크게 격파하고 8000여명의 주민을 북평양으로 이주시키는 사민정책을 단행하였다.


현재까지 낙랑군을 한사군의 연장선으로 해석하던, 아니면 독립적인 국가로 해석하던 평양을 중심으로 성립된 세력임은 거의 확실하다. 따라서 이 당시 사민정책은 현재의 평양일 가능성은 절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이 때의 해석은 북평양 즉 안시성 자리로 보는것이 타당할 것이다.

아무튼....이 공격으로 인해 현도군은 사실상 붕괴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그나마 중국을 통일한 서진(西晉, 265~316)과 대방이나 낙랑 등 한반도내 친 중국 세력의 지원을 받아 겨우 세력을 유지하는 정도였다.


하지만 미천왕은 고토회복을 멈추지 않았다. 그해 음력 12월엔 요동군의 서안평(西安平)을 점령함으로써, 줄기차게 고구려를 괴롭혔던 요동세력을 일소하는 데  성공하였다.


재위 14년인 313년엔 낙랑군 세력을 완파하고 주민 2천명을 사로잡았으며, 314년엔 대방군을 공격하여 친중국 세력을 일소시켰다.

 
이 2년간에 걸친 남방 대원정으로 고구려는 현재의 평양이 있는 대동강 유역까지 영토를 넓힐 수 있었으며,  장차 한반도에 삼국이 정립하는 구도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이제 남은 것은 오직 한 곳 현도군이었다. 미천왕은 조금도 공격을 미루지 않고 다음해 2월 봄 현도군에 대한 최후의 일격을 가하였다. 이미 붕괴되고 있었던 현도군이었지만, 그나마 연맹관계에 있었던 친 중국 세력이 모두 일소되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었다.

이로써 고조선 붕괴 이후 무려 400년간이나 우리나라의 고대국가 발전을 저지하던 친중국 세력은 완전하게 일소하게 되었다. 이것은 추모성왕의 고구려 건국과 고구려의 고대국가 틀을 완성한 태조대왕의 업적과도 비견될만한 대업이었다.

이렇게 내부적인 대업을 이루었던 미천왕이었지만, 그는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동진 세력이나 선비족의 일족인 모용씨 세력과 당당하게 경쟁하며, 고구려를 동방의 패권국가로 우뚝 일으켜 세우게 된다.

 

이 무렵, 진(서진)의 낙양이 무너지고 다시 316년에는 장안이 무너져 진 왕조가 몰락하고 양자강 이북은 유연에게 완전히 장악된다. 또한 유연은 국호를 조(趙)로 고치고 장안을 국도로 삼는다('전조'라 부름).

 

양자강 이남에서는 317년 사마예가 왕을 자칭하고 진(동진)을 재건하여 건강(남경)에 도읍한다.

 

황하 남쪽 상황이 이렇듯 대변혁을 겪고 있는 가운데 황하 이북은 고구려와 선비족에 의해 장악된다. 물론 황하 이북에도 유주를 기점으로 진의 잔존세력인 왕준이 이끄는 유주군이 대표적으로 남아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했으니 고구려나 선비족의 힘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선비족은 모용 선비, 단 선비, 우문 선비 등으로 나뉘어 있었는데 고구려는 이들의 역학관계를 이용하면서 영토를 확장했다.

 

고구려의 가장 큰 적은 모용 선비였다. 그들은 위나라 때부터 하북을 장악하고 부여를 몰락 상황까지 몰고 갔으며 위나라 세력을 위축시키기도 하였다. 그리고 봉상왕 때에는 누차에 걸쳐 고구려를 위협한 바 있다.

 

진의 잔존세력인 왕준은 유주의 일부를 평주로 승격시키고 자신의 장인인 최비를 평주 자사로 파견했다. 최비는 던 선비,우문 선비,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 모용 선비를 칠 것을 종용했다. 최비는 모용 선비가 무너지면 영토를 분할하여 나누는데 동의하였고 이에 고구려,우문 선비,단 선비는 연합군을 형성하여 모용 선비를 치는데 합의했다.

 

319년 12월, 드디어 모용 선비를 치기 위해 연합군은 모용 선비의 수도 극성을 포위했다. 그러나 모용부를 이끌고 있던 모용외는 그들 연합군이 일시적으로 연합한 세력임을 알고 이간책을 썼는데, 우문 선비 진영에 음식과 술을 은밀히 보내면서 우문 선비와 내통하고 있는 것 처럼 행동했다. 이에 고구려와 단은 우문을 의심하고 철수하여 버렸다.

 

고구려와 단이 철수하자 우문의 실독관은 혼자서라도 모용을 무너뜨리겠다며 철군하지 않았고 , 그 기회를 노린 모용외는 군사를 보내 우문 선비군을 패퇴시켰다.

 

이에 가장 곤란한 쪽은 평주의 최비였다. 이미 왕준은 유연의 장수 석륵과의 전투에서 전사한 상태였고 진나라 역시 패망한 상태였기에, 최비는 부하 장수 몇 명을 거느리고 고구려로 망명하였고, 남아있던 최비의 군사들은 모용 선비의 침략을 받고 항복하고 말았다. 그 바람에 모용 선비는 손쉽게 평주를 장악하게 되자 황하 이북의 거대 세력으로 성장한다.

 

모용외는 아들 모용인을 보내 최비를 추적하는 한편 , 유주 전역을 차지하는 데 성공한다. 그리고 장군 장통을 보내 고구려의 하성을 습격하자 하성의 고구려 장수 여노는 패배하게 된다. 이 소식을 들은 미천왕이 대군을 이끌고 하성으로 향했으나, 이미 장통이 주민 1천 여 호를 포로로 잡아 극성으로 끌고 간 다음이었다.

 

이 사건 이후 320년부터 모용 선비와 고구려 사이에는 영토전쟁이 계속된다. 중원에서는 5호 16국 시대가 본격화되고 있었으며 미천왕은 이처럼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국제 정세 속에서 후조 등과 화친을 맺으면서 국가를 안정에 주력하다가 서기 331년 2월 생을 마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