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465 : 조선의 역사 7 (개요 6) 본문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한국의 역사 465 : 조선의 역사 7 (개요 6)

두바퀴인생 2012. 1. 15. 04:05

 

 

 

한국의 역사 465 : 조선의 역사 7 (개요 6)

 

 

 

 

 

멸망 원인

조선의 멸망 원인으로는 다양한 견해가 지목되고 있다.

 

일당독재론

숙종이후 집권한 노론의 일당독재, 또는 안동 김씨·풍양 조씨·여흥 민씨 등 소수 문벌이 권력을 독점하는 것 등으로 참신한 인재의 채용을 차단하고 부정부패한 것이 조선의 국력약화를 가져왔다는 견해이다.

 

 

중국 야욕론

한국의 역사학자 이정식이홍장의 야욕이 조선은 물론 청나라의 멸망의 원인으로 지목하였다.

 

이정식에 의하면 이홍장은 서양 각국으로 하여금 조선왕국과 관계를 맺도록 하여 일본과 러시아가 조선을 독차지하지 못하도록 할 능력이 있었다고 보았다. 이홍장이 조선왕국에 대한 야욕을 품지 않고 주일청국대사관 참찬관 황쭌센(黃遵憲)이 조선책략(1880년)에서 지적했던 정책을 따르고 중국 내부의 개혁을 추진했더라면 청나라와 조선의 붕괴를 상당기간 지연시킬 수 있었다고 비판하였다.

 

당파성론

한민족의 민족성은 분열성이 강하여 항상 내분하여 싸웠다는 주장이다. 한민족의 병적인 혈연 학연 지연성과 배타성 및 당벌성이 역사현실로 반영되어 당쟁 주의를 가지고 서로의 이해를 두고 배격하는 사당의 정쟁으로 간주하여 정책 대결이 아닌 정권쟁탈전에 집착하여 정치적 혼란, 사회적 폐단을 유발하였기에 이로 인해 조선왕조가 멸망하게 된다는 주장이다.

 

조선의 붕당정치가 후기에 갈수록 변질 된 것은 사실이나, 일제가 주장한 당파성론은 변질된 붕당정치에 대해서만 지나치게 확대 해석한 것이며, 조선의 붕당은 오히려 왕의 권력남용을 견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것은 오늘날의 정당과 유사한 기능을 가짐으로써 매우 발전된 정치형태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 정치집단의 형성은 어느 나라에서나 있어온 것이며 현재 알려진 사실도 식민사학자에 의해 과장되고 왜곡된 점이 많다. 또한, 변질된 붕당정치를 억제하기 위해 탕평책을 실시한 이후 오히려 세도 정치의 등장이라는 부작용이 생겨나게 된다.

 

 

 

조선왕 계보도

 

조선임금들은 전주 이씨조선 태조의 후손들로 1392년부터 1897년까지 혈통이 이어졌다. 이후 나라의 이름을 대한제국으로 바꾸면서 1910년까지 황제가 되어 나라를 다스렸으며, 국권을 빼앗긴 이후로는 국정의 실권은 없지만 ‘황실의 수장’으로서의 자리가 세습되어 내려오고 있다.

 

 

본 가계도에서는 친아버지-친아들 관계만 표시하였으며, 유아기에 사망하여 특별한 호칭이 없는 사람은 제외하였다. 적자를 서자보다 위에 표시하였으며, 굵은 푸른색 선으로 둘러쌌다. 그 외의 순서는 태어난 시기를 따져 늘어놓았다.

 

 

태조의 자손들

다음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의 자손들이다.

제1대
태조
    진안
대군
    의평군     제10대
연산군
    폐세자
    영창
대군
                   
    제2대
정종
    순평군         창녕
대군
    임해군
                   
    익안
대군
    금평군     제5대
문종
    제6대
단종
        양평군     제15대
광해군
    폐세자
                               
    회안
대군
    선성군         월산
대군
        돈수     의안군
                           
        종의군     제7대
세조
    덕종     제9대
성종
        신성군     제16대
인조
                               
        진남군     안평
대군
        제11대
중종
    제12대
인종
    원종     능원대군
                               
        수도군     임영
대군
    제8대
예종
    인성
대군
    계성군     제13대
명종
    순회
세자
    순화군     능창대군
                                       
        임언군     광평
대군
    덕원군     제안
대군
    안양군     복성군     임성군     능풍군
                                   
        석보군     금성
대군
    창원군     완원군     해안군     의창군
                           
        덕천군     평원
대군
    회산군     금원군     경창군
                       
        임성군     영응
대군
    봉안군     영양군     흥안군
                       
        도평군     화의군     진성군     덕양군     하원군     경평군
                           
        장천군     계양군     익양군     봉성군     하릉군     인흥군
                           
        정석군     의창군     이성군     덕흥
대원군
    제14대
선조
    영성군
                           
        무림군     한남군     경명군
               
        불노     밀성군     전성군
               
        지운     수춘군     무산군
               
        익현군     영산군
           
    제3대
태종
    양녕
대군
    영풍군     운천군
               
    덕안
대군
    효령
대군
    영해군     양원군
               
    무안
대군
    제4대
세종
    담양군
           
    의안
대군
    성녕
대군
       
    경녕군
   
    함녕군
   
    온녕군
   
    근녕군
   
    혜령군
   
    희령군
   
    후령군
   
    익녕군
   

 

다음은 조선의 열여섯 번째 임금인 인조의 자손들이다.

 

 

제16대
인조
    소현
세자
    제20대
경종
    진종     의소
세손
    문효
세자
                   
    제17대
효종
    제18대
현종
    제19대
숙종
    제21대
영조
    장조     제22대
정조
    제23대
순조
    문조     제24대
헌종
                                   
        연령군    
           
        은언군     상계군     회평군
               
        은신군     풍계군     영평군
               
        은전군     전계
대원군
    제25대
철종
               
    인평
대군
    복녕군     양원군
           
    용성
대군
    복창군     의원군     양흥군     이진익     이병순     흥녕군
                           
    숭선군     복선군     안계군     이진태     이병원     남연군     흥완군     이재면
                               
    낙선군     복평군     이병준     흥인군     제26대
고종
                   
    서자
네 명
    흥선
대원군
    이재선
           

 

다음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고종의 자손들이다.

 

제26대
고종
    제27대
순종
    이건
       
    완친왕     이우
       
    의친왕     이방
       
        이창
       
        이주
       
        이곤
       
        이광
       
        이현     제30대
이원
           
        이갑     이상우
           
        이석
       
        이환
       
        이정
       
   
   
    제28대
의민태자
    제29대
이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