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185 : 가야의 역사 3 (가야 역사 개관 2) 본문
한국의 역사 185 : 가야의 역사 3 (가야 역사 개관 2)
6가야 설은 고려 초의 전승이고, 실제로는 10여 개국 이상의 가야소국
가야사라고 하면 보통 금관가야, 아라가야와 같은 이른바 ‘6가야’의 이름을 떠올린다.
그러면 가야는 6개의 작은 국가(小國)들로 이루어져 있었고 그 소국들의 이름이 ‘무슨 가야’였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6가야의 이름이 처음 실린 자료는 고려 말에 편찬된 <삼국유사> 5가야 조의 기록이다. 이를 살펴보면, 실제로는 아라가야(阿羅伽耶), 고령가야(古寧伽耶), 대가야(大伽耶), 성산가야(星山伽耶), 소가야(小伽耶), 금관가야(金官伽耶), 비화가야(非火伽耶) 등의 일곱 가야의 이름이 나온다.
이런 이름들은 <삼국유사> 가락국기의 가락국 수로왕 건국 신화에 덧붙여진 6란(六卵) 설화에 덧붙여진 것인데, 그 6가야의 개념은 신라 말 고려 초의 혼란기에 후고구려나 후백제와 같이 생겨난 것이다. 그러므로 '무슨 가야' 형태의 국명은, 그들이 소국으로 존재할 당시의 국명이 아니라, 옛날에 가야연맹 중의 하나인 금관국(金官國), 아라국(阿羅國), 고동람국(古冬攬國), 성산국(星山國,) 비화국(非火國)이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라 말 고려 초의 명칭이다.
고려 초의 인식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삼국유사>에 나열된 7개의 가야소국 중에서 일부는 옛날에 실제로 가야연맹체 속에 들어 있던 소국이었는지 의심스럽다. 게다가 가야 토기의 출토 범위를 통해서 보면 가야연맹체를 이루는 소국의 수는 6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10개국이 넘는다.
전기 가야연맹의 맹주국인 김해의 가락국
![]() |
『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 조'의 기록에 의하면, 3세기 당시에 한반도 남부지역에는 24개의 소국들이 있었는데, 그 중에 12개의 소국을 변한(弁韓)이라 하고, 나머지 12개의 소국을 진한(辰韓)이라고 하였다. 김해의 구야국(=가락국)은 변한 12국 안에 들어 있으며, 그 변한 12국으로 이루어진 연맹체를 가야사에서는 ‘전기 가야연맹(前期加耶聯盟)’이라고 부른다.
『삼국사기』의 기록으로 보아서는 4세기 이전의 낙동강 유역에서 김해 가락국의 대표성이 인정된다. 그러므로 이 시기의 맹주국은 김해의 가락국이었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발굴된 고고학 자료들을 비교해 볼 때, 1~4세기 당시 가야지역의 문화 중심은 김해, 부산, 창원을 둘러싼 경남 해안지대였고, 그 중에서도 김해 지방의 출토 유물은 다른 지역에 비해 압도적인 우월성을 보이고 있다.
전기 가야 소국들은 상당한 통치 체제를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대체로 비슷한 문화 기반 속에서 성장하고 있었다. 이 때 구야국과 같이 지리적으로 해상 교통에 유리하고 비교적 큰 소국이 대외적인 교섭의 대표 역할을 맡곤 하다가, 차츰 소국연맹체가 형성되었다.
가야연맹의 형성 시기는 2세기 후반 정도로 볼 수 있으며, 아무리 늦어도 3세기 전반을 넘지는 않았다. 그러므로 3~4세기에 변한 12국은 김해의 가락국(=가야국=구야국)을 중심으로 통합되어 변한 소국연맹체, 즉 전기 가야연맹을 이루고 있었다고 하겠다. 그 당시 맹주국인 가락국의 위상은 길이 10미터가 넘는 대형 목곽묘들로 구성되어 있는 김해시 대성동 고분군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전기 가야연맹 해체는 한반도 전체와 일본의 고대 역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
![]() |
4세기에 가야연맹은 중국 남조, 백제, 왜를 연결하는 국제 교역망 속에서 활동하였으며,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 신라와 경쟁하였다. 반면에 신라는 고구려에게 후원을 요청하였고, 이에 따라 400년에 고구려 광개토왕이 군사 5만을 보내 신라를 구원하였다.
가야연맹의 대표 세력인 임나가라(김해시)는 대규모의 군대를 맞아 대항하지 못하고 갑작스러운 멸망을 당하게 되었다.
이는 가야사로서는 매우 안타까운 사건이지만, 이것이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의 고대사에서 파생되는 영향은 매우 컸다.
첫째로, 전기 가야연맹이 해체되었다는 것이 가장 큰 결과이다. 가야 소국들이 모두 망한 것은 아니지만, 성주, 창녕, 부산 등 낙동강 동쪽 지역의 소국들이 신라의 수중에 들어가고 낙동강 하구의 주요 세력들이 초토화되었다.
둘째로는 백제가 바다를 통하여 왜와 교역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었다. 그리하여 백제는 5세기 들어 영산강 유역의 세력을 지원하면서 이를 통하여 왜와의 교역을 지속해 나갔다고 보인다. 신라는 가야와 왜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났으나 고구려의 정치적 간섭에 한동안 시달리게 되었다.
셋째로는 가야연맹 내의 후진 지역이었던 경상 내륙 지방과 왜가 발전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가야의 문화 중심지였던 낙동강 하구의 주민들이 흩어져 경상 내륙 지방과 일본 열도 등으로 이주하면서, 제철 및 철기 제조 기술, 도질토기 제조기술 등이 전수되었다고 보여진다. 혹자는 가락국의 지배 세력이 일본열도로 집단 이주한 것을 가야의 쇠퇴 원인으로 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5세기에 가야의 선진 기술이 외부로 파급되어, 고령을 중심으로 한 후기 가야연맹이 형성되는 토대를 이루고, 일본 열도에 천황제 정권의 토대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일본의 천손강림 신화에서 천손이 하늘로부터 규슈(九州)의 ‘구시후루다케(久士布流多氣)’, 즉 구지봉(龜旨峰)에 하강한다는 내용은, 김해 세력의 파급과 관련해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고령 지방을 중심으로 새로이 복구된 후기 가야연맹
![]() |
경상북도 고령 지방에는 본래 큰 세력이 없고 안정된 농업 생산성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5세기에 들어 야로(冶爐) 철광을 개발하면서 크게 성장하였다. 고령 지방에 4세기 이전의 고분 유적이 거의 없다가, 5세기 이후에 지산동 고분군과 같은 대형 고분군이 나타나는 것은 그를 반영한다.
그리하여 고령의 반파국(伴跛國)은 5세기 후반에 대가야(大加耶)를 칭하며 대두하여, 13개 소국을 거느린 맹주국이 되어 후기 가야연맹(後期加耶聯盟)을 형성시켰다.
대가야는 479년에 가라왕(加羅王) 하지(荷知)의 이름으로 중국 남제(南齊)에 사신 보내 보국장군본국왕(輔國將軍本國王)의 칭호를 받기도 하고, 481년에는 신라를 공격하는 고구려의 군대를 백제와 함께 가서 막아 주기도 하였다.
![]() |
그러나 대가야는 6세기 초에 기문(己汶=남원,임실)과 대사(帶沙=하동) 지방을 둘러싸고 백제와 대립하여, 기문을 빼앗기고 대사를 지켜냈다. 대가야 이뇌왕(異腦王)은 522년에 신라 왕녀를 받아들여 결혼동맹을 맺었으나, 신라 법흥왕은 이를 이용하여 분란을 일으켰다. 그 결과 530년대에 가야 남부의 일부 지역이 신라와 백제에게 병합되거나 그 영향 아래 들게 되었다.
후기 가야연맹은 540년대에 고령의 대가야국과 함안의 안라국을 중심으로 한 남북 이원체제로 분열되었다. 그러면서도 대외적으로는 가야연맹 전체의 독립을 모색하였으나, 결국 550년 경에 백제에게 반(半)복속되었다. 가야연맹은 554년에 백제와 연합군을 구성하여 관산성 전투에 나섰다가 신라에게 대패하였으며, 562년에 신라 군대의 기습적인 공격을 받아 멸망하였다.
700년 이상 지속되었고 풍부한 고분 문화를 남긴 가야가 왜 멸망하였는가?
1970년대 이후로 경상남북도 지역에서 많은 가야 고분이 발견되었고, 그 안에서 풍부한 문화 유물들이 나타나서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하였다. 가야 문화는 기원전 1세기 무렵부터 낙동강 유역에서 발전하기 시작하여, 기원후 2세기 무렵에는 12개의 소국이 나타났고, 3-4세기에는 김해 가락국 중심의 전기 가야연맹이 번성하였으며, 5-6세기에는 고령 대가야국 중심의 후기 가야연맹이 이어졌다.
이처럼 700년 이상 독립적인 체제를 유지하면서 신라와 대등하게 발전하던 가야가 어째서 멸망하였을까?
가야의 멸망 원인을 간단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가야 지역의 소국들은 농업 및 해운 입지조건이 서로 대등한 상태에 있어서, 소국 간에 비교적 고른 문화 축적을 이루고 있었다. 그래서 그 중의 어떤 하나의 나라가 결정적으로 탁월해지는 것을 서로 견제하는 역할을 하였다.
둘째로, 4세기의 국제정세 변동을 거치면서, 4세기 말에 고구려의 군대가 낙동강 유역까지 쳐내려왔는데, 이는 가야가 발전하는 맥을 한동안 끊어놓았다.
셋째로, 가야는 주변의 백제나 신라에 비하여, 기존의 맹주국이 주변 소국들을 일원적으로 영도해 나가는 중앙집권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 늦었다. 그래서 대외관계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없었다.
넷째로, 가야의 힘은 철 생산 능력의 우월성에 있었으나, 5세기 이후에는 왜국이 철광산 개발에 성공하고 백제가 왜와 직접 통교하기 시작하면서 왜에 대한 상대적 우월성이 약해졌다.
위에 말한 네 가지 요인은 상호 연관을 가지면서 가야 멸망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시대의 흐름과 변화 > 생각의 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역사 186 : 가야의 역사 4 (가야 역사 개관 3) (0) | 2011.03.19 |
---|---|
우면산의 새벽 30 (지진,쓰나미,방사능,여진... 탈출러시) (0) | 2011.03.18 |
우면산의 새벽 29(재벌, 교회 그리고 권력) (0) | 2011.03.17 |
한국의 역사 184 : 가야의 역사 2 (가야 역사 개관 1) (0) | 2011.03.17 |
한국의 역사 183 : 가야의 역사 1 (김해 지역 역사) (0) | 2011.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