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105 : 신라의 역사 4 (신라의 건국 신화와 역대 국왕) 본문
한국의 역사 105 : 신라의 역사 4 (신라의 건국 신화와 역대 국왕)
신라의 건국 신화
신라의 건국 신화는 신라 건국과 관련된 신화로, 박혁거세에 얽힌 이야기로 시작한다.
본래 신라가 자리한 서라벌 지역에는 여섯 개의 촌이 있어 육부촌이라 불렸다. 각 촌에는 촌장이 있어 대소사를 관장하였고 6촌장들이 모인 화백회의가 있어 만장일치제로 6촌 전체의 문제를 결정하였다. 기원전 69년의 화백회의에서 6촌에는 임금이 없어 백성들이 법도를 모르니 임금을 추대하고 도읍을 세우자는 의견이 나와 이에 6촌장들이 산에 올라 서라벌 땅을 굽어보니 남산 기슭의 나정 우물가에 신비한 기운이 서려있어 모두 그곳으로 갔다. 우물가에는 흰말이 있었는데 6촌장들이 나타나자 말은 하늘로 오르고 우물가에는 큰 알이 하나 놓여있었다. 알에서 건장한 사내아이가 나왔는데 아이의 몸에서는 광채가 나고 뭇 짐승들이 모여 춤을 추었으며 해와 달이 밝게 빛났다. 6촌장들은 아이의 이름을 박혁거세라 칭하고 왕으로 추대하였다. 왕은 국호를 서라벌이라 하고 스스로를 거서간으로 칭했다.
박혁거세가 왕으로 추대된 후 어느 날, 샤량리의 알영 우물가에서 계룡이 나타나 겨드랑이로 여자아이를 낳았다. 여자아이는 얼굴이 아름답고 피부가 고왔지만, 입술에 닭의 부리가 달려있어 보기 흉했다. 사람들이 여자아이를 북쪽 시냇가로 데려가 씻기니 부리가 떨어지고 매우 고운 자태를 드러내었다. 아이가 자라 13세가 되어 왕후로 추대되었다. 아이의 이름은 알영이다. 사량리의 알영 우물가를 따서 이름을 지은 것이다.
삼국유사에서는 박혁거세와 알영의 나이는 같으며, 나라 사람들이 박혁거세와 알영부인을 "성인"이라고 부르며 크게 좋아하였다고 한다. 한편, 삼국사기의 경순왕조에 따르면 옛날 중국에서 마한으로 피난간 사람이 있는데, 그 사람이 박혁거세의 선조라고 한다.
역대 국왕
신라를 다스린 역대 군주의 목록과 재위 연대이다.
국왕 명칭
- 신라에서는 군주의 칭호가 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 왕 등으로 여러 차례 바뀌었는데, 이런 변화는 신라의 발전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즉, 정치적 군장과 제사장의 기능이 분리되면서 거서간과 차차웅으로 그 칭호가 나누어지게 되었고, 박·석·김의 3부족이 연맹하여 그 연맹장을 3부족에서 고대로 선출하게 될 때에 연맹장이란 의미에서 이사금을 칭하였다. 이후 김씨가 왕위세습권을 독점하면서 왕권의 강화를 위해 대군장이란 의미의 마립간으로 바꾸었다. 그 뒤 왕위상속제를 확립하고, 이어 6부를 개편하여 중앙집권화를 추진하면서 마립간 대신 왕이란 칭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 내물과 실성 두 임금은 삼국유사에서는 마립간이라고 하나 여기에선 삼국사기를 따라 이사금으로 한다.
- 선덕, 진덕, 진성 세 임금은 사기에는 ‘왕’으로만 기록되어 있으나 ‘여왕’의 칭호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므로 ‘여왕’으로 한다.
상대(上代)
제2대 남해 차차웅이 세상을 떠나자 태자인 유리와 석탈해가 서로 왕위를 양보하다가 유리가 왕이 되었다.
유리 이사금은 죽으면서 자신의 아들을 제외하고 석탈해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그런데 제4대 임금 석탈해가 죽고 나자 석탈해의 아들은 왕위 계승 대상에서 아예 제외되고 이전 임금이었던 유리 이사금의 둘째 아들인 파사가 이사금 자리에 오른다.
그런데 나중에 파사 임금이 죽자 파사의 아들 지마가 제6대 이사금으로 즉위하고, 그 뒤를 이어서 예전에 파사에 의해 밀려났던 유리이사금의 첫째 아들 일성이 제7대 왕으로 등극하게 되는 것이다.
초기 신라, 즉 사로국의 경우 제1순위인 태자가 번번이 다른 사람에게 왕위를 양보하고, 그런 다음에 양보했던 그 사람이 다시 훗날 왕위에 오를 뿐 아니라, 심지어는 왕이 죽기 전에 자신의 아들보다는 성씨가 다른 세력의 수장에게 왕위를 잇게 하라고 유언을 하는 등 왕권 승계의 질서가 좀처럼 이해하기 어렵다.
더군다나 이런 식의 왕권승계가 아무런 갈등이나 마찰 없이 아주 평화롭게 이뤄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내용들은 사실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초기 신라의 3대 세력이었던 '박-석-김' 세력이 각각 독립적인 계보를 이어 내려오다가, 훗날 그것들을 뒤섞어서 단일 왕계로 정리하는 과정에서 삼국사기의 내용처럼 미화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박씨 왕조
대수 | 칭호 | 휘 | 재위 기간 | 비고 |
---|---|---|---|---|
1 | 혁거세 거서간(赫居世居西干) | 혁거세(赫居世) | 기원전 57년 ~ 4년 | 박씨의 시조 |
2 | 남해 차차웅(南解次次雄) | 남해(南解) | 4년 ~ 24년 | 혁거세 거서간의 아들 |
3 | 유리 이사금(儒理尼師今) | 유리(儒理) | 24년 ~ 57년 | 남해 차차웅의 아들 |
석씨 왕조
대수 | 칭호 | 휘 | 재위 기간 | 비고 |
---|---|---|---|---|
4 | 탈해 이사금(脫解尼師今) | 탈해(脫解) | 57년 ~ 80년 | 남해 차차웅의 사위이자, 석씨의 시조 |
박씨 왕조
대수 | 칭호 | 휘 | 재위 기간 | 비고 |
---|---|---|---|---|
5 | 파사 이사금(婆娑尼師今) | 파사(婆娑) | 80년 ~ 112년 | 유리 이사금의 둘째 아들 혹은 유리 이사금의 동생인 나로(柰老)의 아들. |
6 | 지마 이사금(祗摩泥師今) | 지마(祗摩) | 112년 ~ 134년 | 파사 이사금의 아들. |
7 | 일성 이사금(逸聖泥師今) | 일성(逸聖) | 134년 ~ 154년 | 유리 이사금의 맏아들 혹은 일지(日知) 갈문왕의 아들. |
8 | 아달라 이사금(阿達羅泥師今) | 아달라(阿達羅) | 154년 ~ 184년 | 일성 이사금의 아들. |
석씨 왕조
대수 | 칭호 | 휘 | 재위 기간 | 비고 |
---|---|---|---|---|
9 | 벌휴 이사금(伐休泥師今) | 벌휴(伐休) | 184년 ~ 196년 | 탈해 이사금의 손자이며 각간 구추(仇鄒)의 아들. |
10 | 내해 이사금(奈解泥師今) | 내해(奈解) | 196년 ~ 230년 | 벌휴 이사금의 손자이자 이매(伊買)의 아들. |
11 | 조분 이사금(助賁泥師今) | 조분(助賁) | 230년 ~ 247년 | 벌휴 이사금의 손자이자, 아버지는 골정(骨正), 혹은 홀쟁(忽爭) 갈문왕. |
12 | 첨해 이사금(沾解) | 첨해(沾解) | 247년 ~ 261년 | 조분 이사금의 친동생. |
김씨 왕조
대수 | 칭호 | 휘 | 재위 기간 | 비고 |
---|---|---|---|---|
13 | 미추 이사금(味鄒泥師今) | 미추(味鄒) | 261년 ~ 284년 | 김알지의 5대손 구도(仇道)의 아들. |
석씨 왕조
대수 | 칭호 | 휘 | 재위 기간 | 비고 |
---|---|---|---|---|
14 | 유례 이사금(儒禮泥師今) | 유례(儒禮) | 284년 ~ 298년 | 조분 이사금의 아들. |
15 | 기림 이사금(基臨泥師今) | 기림(基臨) | 298년 ~ 310년 | 조분 이사금의 손자이며, 이찬 걸숙(乞淑)의 아들. |
16 | 흘해 이사금(訖解泥師今) | 흘해(訖解) | 310년 ~ 356년 | 내해 이사금의 손자이며, 각간 석우로(于老)의 아들. |
김씨 왕조
대수 | 칭호 | 시호 | 휘 | 재위 기간 | 비고 |
---|---|---|---|---|---|
17 | 내물 마립간(奈勿麻立干) | 내물(奈勿), 나밀(那密) | 356년 ~ 402년 | 각간 말구(末仇)의 아들. | |
18 | 실성 마립간(實聖麻立干) | 실성(實聖) | 402년 ~ 417년 | 이찬 대서지(大西知)의 아들. | |
19 | 눌지 마립간(訥祗麻立干) | 눌지(訥祗) | 417년 ~ 458년 | 내물 마립간의 장자. | |
20 | 자비 마립간(慈悲麻立干) | 자비(慈悲) | 458년 ~ 479년 | 눌지 마립간의 장자. | |
21 | 소지 마립간(炤知麻立干) | 소지(炤知) | 479년 ~ 500년 | 자비 마립간의 장자. | |
22 | 지증 마립간(智證麻立干) | 지증왕(智證王) | 지대로(智大路, 智度路) | 500년 ~ 514년 | 습보 갈문왕(習寶)의 아들. |
23 | 법흥왕(法興王) | 원종(原宗) | 514년 ~ 540년 | 지증왕의 아들. | |
24 | 진흥왕(眞興王) | 삼맥종(彡麥宗) | 540년 ~ 576년 | 법흥왕의 조카. | |
25 | 진지왕(眞智王) | 사륜(舍輪), 금륜(金輪) | 576년 ~ 579년 | 진흥왕의 차남. | |
26 | 진평왕(眞平王) | 백정(伯淨, 白淨, 白丁) | 579년 ~ 632년 | 진흥왕의 장손이자 태자 동륜(銅輪)의 아들. | |
27 | 선덕여왕(善德女王) | 덕만(德曼) | 632년 ~ 647년 | 진평왕의 장녀. | |
28 | 진덕여왕(眞德女王) | 승만(勝曼) | 647년 ~ 654년 | 진평왕의 동생인 국반(國飯)의 딸. |
중대(中代)
김씨 왕조
대수 | 묘호 | 시호 | 휘 | 재위 기간 | 비고 |
---|---|---|---|---|---|
29 | 태종(太宗) | 무열왕(武烈王) | 춘추(春秋) | 654년 - 661년 | 진지왕의 손자이자 김용춘의 아들. |
30 | 문무왕(文武王) | 법민(法敏) | 661년 - 681년 | 태종무열왕의 장자. | |
31 | 신문왕(神文王) | 정명(政明) | 681년 - 692년 | 문무왕의 장자. | |
32 | 효소왕(孝昭王) | 이홍(理洪), 이공(理恭) | 692년 - 702년 | 신문왕의 장자. | |
33 | 성덕왕(聖德王) | 흥광(興光), 융기(隆基) | 702년 - 737년 | 신문왕의 차남. | |
34 | 효성왕(孝成王) | 승경(承慶) | 737년 - 742년 | 성덕왕의 아들. | |
35 | 경덕왕(景德王) | 헌영(憲英) | 742년 - 765년 | 성덕왕의 아들. | |
36 | 혜공왕(惠恭王) | 건운(乾運) | 765년 - 780년) | 경덕왕의 아들. |
하대(下代)
김씨 왕조
대수 | 시호 | 휘 | 재위 기간 | 비고 |
---|---|---|---|---|
37 | 선덕왕(宣德王) | 양상(良相) | 780년 - 785년 | 내물 마립간의 10대손. |
38 | 원성왕(元聖王) | 경신(敬信) | 785년 - 798년 | 내물 마립간의 12대손. |
39 | 소성왕(昭聖王) | 준옹(俊邕) | 798년 - 800년 | 원성왕의 장손. |
40 | 애장왕(哀莊王) | 청명(淸明), 중희(重熙) | 800년 - 809년 | 소성왕의 아들. |
41 | 헌덕왕(憲德王) | 언승(彦昇) | 809년 - 826년 | 소성왕의 동생. |
42 | 흥덕왕(興德王) | 수종(秀宗),수승(秀升), 경휘(景徽) | 826년 - 836년 | 소성왕의 동생. |
43 | 희강왕(僖康王) | 제륭(悌隆) | 836년 - 838년 | 원성왕의 손자인 김헌정(金憲貞)의 아들. |
44 | 민애왕(閔哀王) | 명(明) | 838년 - 839년 | 원성왕의 손자인 김충공(金忠恭)의 아들. |
45 | 신무왕(神武王) | 우징(祐徵) | 839년 | 원성왕의 손자인 김균정(金均貞)의 아들. |
46 | 문성왕(文聖王) | 경응(慶膺) | 839년 - 857년 | 신무왕의 아들. |
47 | 헌안왕(憲安王) | 의정(誼靖) | 857년 - 861년 | 신무왕의 이복 동생. |
48 | 경문왕(景文王) | 응렴(膺廉) | 861년 - 875년 | 희강왕의 손자. |
49 | 헌강왕(憲康王) | 정(晸) | 875년 - 886년 | 경문왕의 장남. |
50 | 정강왕(定康王) | 황(晃) | 886년 - 887년 | 경문왕의 차남. |
51 | 진성여왕(眞聖女王) | 만(曼), 원(垣) | 887년 - 897년 | 경문왕의 딸. |
52 | 효공왕(孝恭王) | 요(嶢) | 897년 - 912년 | 헌강왕의 서자. |
박씨 왕조
대수 | 시호 | 휘 | 재위 기간 | 비고 |
---|---|---|---|---|
53 | 신덕왕(神德王) | 경휘(景暉, 景徽) | 912년 - 917년 | 아달라이사금의 후손. |
54 | 경명왕(景明王) | 승영(昇英) | 917년 - 924년 | 신덕왕의 장남. |
55 | 경애왕(景哀王) | 위응(魏膺) | 924년 - 927년 | 신덕왕의 차남. |
김씨 왕조
대수 | 시호 | 휘 | 재위 기간 | 비고 |
---|---|---|---|---|
56 | 경순왕(敬順王) | 부(傅) | 927년 - 935년 | 문성왕의 6대손 이찬(伊飡) 김효종의 아들. |
추존왕
대수 | 시호 | 휘 | 재위 기간 | 비고 |
---|---|---|---|---|
(추존) | 문흥대왕(文興大王) | 김용춘(金龍春) | (추존) | 태종무열왕에 의해 추존됨, 태종무열왕의 아버지. |
(추존) | 흥무대왕(興武大王) | 김유신(金憲貞) | (추존) | 853년에 왕으로 추존됨, 김해 김씨 중시조. |
(추존) | 개성대왕(開聖大王) | 김효방(金孝芳) | (추존) | 선덕왕에 의해 추존됨, 선덕왕의 아버지. |
(추존) | 현성대왕(玄聖大王) | 김법선(金法宣) | (추존) | 원성왕에 의해 추존됨, 원성왕의 고조부. |
(추존) | 신영대왕(神英大王) | 김의관(金義寬) | (추존) | 원성왕에 의해 추존됨, 원성왕의 증조부. |
(추존) | 흥평대왕(興平大王) | 김위문(金魏文) | (추존) | 원성왕에 의해 추존됨, 원성왕의 조부. |
(추존) | 명덕대왕(明德大王) | 김효양(金孝讓) | (추존) | 원성왕에 의해 추존됨, 원성왕의 아버지. |
(추존) | 혜충대왕(惠忠大王) | 김인겸(金仁謙) | (추존) | 소성왕에 의해 추존됨, 소성왕의 아버지. |
(추존) | 익성대왕(翌成大王) | 김헌정(金憲貞) | (추존) | 희강왕에 의해 추존됨, 희강왕의 아버지. |
(추존) | 선강대왕(宣康大王) | 김충공(金忠恭) | (추존) | 민애왕에 의해 추존됨, 민애왕의 아버지. |
(추존) | 혜강대왕(惠康大王) | 김예영(金禮英) | (추존) | 신무왕에 의해 추존됨, 신무왕의 조부. |
(추존) | 성덕대왕(成德大王) | 김균정(金均貞) | (추존) | 신무왕에 의해 추존됨, 신무왕의 아버지. |
(추존) | 의공대왕(懿恭大王) | 김계명(金啟明) | (추존) | 경문왕에 의해 추존됨, 경문왕의 아버지. |
(추존) | 혜성대왕(惠成大王) | 김위홍(金魏弘) | (추존) | 진성여왕에 의해 추존됨, 진성여왕의 숙부. |
(추존) | 선성대왕(宣聖大王) | 박예겸(朴銳謙) | (추존) | 신덕왕에 의해 추존됨, 신덕왕의 의부. |
(추존) | 흥렴대왕(興廉大王) | 박문원(朴文元) | (추존) | 신덕왕에 의해 추존됨, 신덕왕의 생부. |
'시대의 흐름과 변화 > 생각의 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면산의 새벽 7 (한국 외교의 자화상) (0) | 2010.12.26 |
---|---|
한국의 역사 106 : 신라의 역사 5(제1대 박혁거세왕 1) (0) | 2010.12.25 |
우면산의 새벽 6 (공존과 평화) (0) | 2010.12.23 |
한국의 역사 104 : 신라의 역사 3 (개관 3) (0) | 2010.12.23 |
한국의 역사 103 : 신라의 역사 2 (개관 2) (0) | 2010.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