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52 : 고구려 역사 35 (에필로그 1) 본문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한국의 역사 52 : 고구려 역사 35 (에필로그 1)

두바퀴인생 2010. 10. 27. 03:40

 

 

 

한국의 역사 52 : 고구려 역사 35 (에필로그 1) 

 

 

 

 

 

고구려 역사 35 : 에필로그 1

 

 

연개소문 동상, 천안 국학원 내의 한민족 역사문화공원

 

                BC 2333년 고조선 건국

                BC 108년 고조선 멸망.

                BC 37년 부여의 왕족 주몽, 남하하여 졸본에서 고구려건국

                BC 18년 주몽의 아들 온조(소서노와의 아들) 백제건국

                003년 유리왕(주몽의 첫째부인 아들) 압록강 국내성으로 천도.
                022년 고구려, 부여 공격 대소왕 전사.

                242년 고구려, 요동의 서안평 공격
                313년 고구려, 낙랑군 멸망시킴
                391년 광개토왕 즉위, 백제공격
                400년 광개토왕, 비려 후연 부여 말갈 정복. 내몽고까지 진출. 신라침범 왜구 격퇴.
                414년 장수왕 즉위
                427년 평양천도, 한강유역 정복
                433년 백제-신라 동맹
                475년 고구려, 백제공격 백제 웅진천도

                554년 백제-신라 동맹 결렬
                590년 고구려 온달장군 아차성에서 전사
                598년 수나라와 1차전쟁 승리, 고구려 강이식 요서선제공격, 수문제 30만 대군궤멸.
                612년 수나라와 2차전쟁 승리, 수양제 요동성,평양성,살수대첩에서 을지문덕에 패퇴
                613년 수나라와 3차전쟁 승리
                618년 수나라와 4차전쟁 승리, 수나라 멸망시킴
                618년 이세민 당나라 건국, 고구려-당 우호관계맺음
                630년 부여성-발해에 이르는 천리장성 축조
                642년 연개소문 고건무 죽이고 쿠데타, 대당 강경노선으로 급선회.
                642년 연개소문, 신라 김춘추를 사로잡아 감금하고 신라공격.
                645년 당나라와 1차전쟁 승리, 요동성전투 연개소문. 안시성전투 양만춘.
                647년 당나라와 2차전쟁 승리, 연개소문.
                648년 당나라와 3차전쟁 승리, 연개소문.
                648년 신라-당나라 연합
                660년 신라-당나라 연합군 백제 멸망시킴
                661년 당나라군 평양성 포위했으나 패퇴.
                666년 연개소문 병사. 세아들 내분. 남생 당에 투항, 남건 설인귀에 대패.
                668년 당나라군, 안시성 부여성 함락. 신라 문무왕 평양성 함락. 고구려 패망.
                669년 압록강 이북 32개성 당나라와 계속 전쟁 - 검모잠등
                676년 고구려 마지막왕 보장왕 말갈과 연합 고구려부흥운동 실패.
                696년 거란 이진충 반란, 북경포위 측천무후와 전투끝에 패퇴.
                696년 걸사비우,대걸중상,대조영 이해고의 당나라군과 격전, 요동에서 당축출. 걸사비우 전사.
                698년 대조영, 진국이라 칭하고 건국. 송화강 연해주까지 정벌.
                713년 당나라 대조영을 발해군왕으로 칭하며 화친 제의, 대조영은 고려국왕 연호사용
                719년 대조영 죽음.
                732년 고려국(발해) 무왕 당나라 산동반도 공격.
                733년 신라-당 연합군 고려국(발해)공격, 발해-돌궐-일본과 동맹. 나-당에 대항.
                907년 당나라 멸망.
                926년 고려국(발해) 멸망.
                935년 신라 멸망.

                       

 

 

연개소문 등장과 일인독재 체제

 

영류왕을 죽이고 보장왕을 옹립함으로써 일인독재 체제를 구축한 연개소문은 서부 귀족 출신이다. 그의 할아버지 연자유와 아버지 연태조는 모두 대인의 신분으로 재상 반열에 올랐다. <삼국사기>와 <신당서>에는 개소문의 성씨를 '천'씨로 소개하고 있는데. 이는 개소문의 '연'씨 성이 당나라를 세운 이연의 이름과 같다하여 고의로 천씨로 바꿔놓은 것으로 판단된다.

 

아버지인 연태조는 동부(東部 : 혹은 서부라고도 함)의 대가 및 대대로(大對盧) 직을 지냈고, 그의 사후 연개소문이 그 자리에 오르려 하였으나 그의 품성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반대가 심하였다.

 

연개소문은 아버지 연태조가 죽은 후에 서부의 대인 직위를 이어받으려 했으나, 당시 신하들이 연개소문의 성격이 지나치게 호방하여 위험한 인물이라고 주장하며 작위 계승에 반대하였다. 이에 연개소문은 자신이 직접 궁궐로 나아가 작위 계승의 정당성을 역설하여 가까스로 서부 대인 직위를 얻을 수 있었다.

 

연개소문은 이에 반대파에게 한수 굽히며 대대로 자리에 간신히 올랐고, 취임 즉시 재차 대당(對唐) 강경책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그러나 영류왕이 당나라에 대해 저자세 외교를 펼치며 자신의 의견이 묵살되자 크게 반발하게 되었다. 628년(영류왕 11) 왕명으로 천리장성을 쌓으니, 남녀를 막론하고 동원되어 고통이 심하였다고 한다.

 

서부 대인이 된 연개소문은 아버지 연태조가 추진하던 장성 축조작업을 지휘 감독하였다. 631년부터 시작된 이 작업은 약 16년 동안 계속되었으며, 642년에 영류왕과 대신들이 모의하여 연개소문을 죽이려 했으나 연개소문이 사전에 눈치를 채고  성곽 축성을 위한 출정식을 핑계삼아 도성의 남쪽에서 축성작업에 참여하는 군대를 사열하는 것으로 핑계삼아, 조정 중신 1백여 명을 그자리에 초청하였다. 그리고 중신들이 사열식에 참여하기 위해 식장에 들어서자 무사들을 동원하여 모두 죽여버렸다. 그리고 영류왕도 참살하고 말았다.

 

연개소문이 영류왕을 제거한 것은 일차적으로 자신이 살아남기 위함이었으며, 다음으로는 고구려를 당나라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려는 데 목적이 있었다.

 

당시 고구려 조정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뉘어 있었는데, 하나는 당나라에 조공하여 국가의 안전을 도모하자는 온건파였고, 다른 하나는 당나라와 대등한 관계를 이루어 고구려의 독자성을 고수하자는 강경파였다. 영류왕은 즉위 초부터 온건파에 기울어져 있다가 강경파의 거두인 대대로 연태조가 죽자 완전히 온건파로 돌아섰다. 이 때문에 조정은 온건파가 득세하였고, 강경파는 한직이나 변경으로 밀려나거나 장성 축성작업에 동원되어야 했다. 그리고 급기야 온건파는 강경파의 핵심 인물인 연개소문을 제거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백여 명의 온건파 중신들을 제거한 연개소문은 즉시 군대를 이끌고 궁성 안으로 들어가 궁성을 장악하고 영류왕을 살해했다. 이로써 하루 아침에 조정을 장악한 연개소문은 영류왕의 조카 보장을 왕위에 앉히고 자신은 스스로 막리지에 오른다.

 

막리지는 연개소문에 의해 도입된 관직으로 행정과 병권을 동시에 가진 무소불위의 직위였다. 연개소문이 이 직위를 바탕으로 독재 권력을 구축하고 철저한 공포정치를 지속하였다. 연개소문은 영류왕의 시신을 토막내어 구덩이에 던져 버렸다고 한다.

 

그해에 연개소문은 보장왕을 옹립한 뒤 고구려의 최고 관직대막리지가 되었다. 그는 자신의 친인척들을 모두 요직에 앉혀 독재 정권을 수립하였다. 연개소문의 고구려 내 권위는 엄청났는데, 《삼국사기》 열전은 그가 몸에 오도(五刀)를 차고 다니며, 말을 오르내릴 떄는 귀족이나 무관을 엎드리게 하였다고 기술하면서 그의 독재자의 모습을 비판하여 묘사하였다. 그러나 당나라인이 주변 민족에 대해 쓴 《한원》(翰苑)을 보면 고구려인들은 누구나 오도를 차고 다닌다고 기록되어 있다.

 

연개소문이 이렇게 일시에 조정의 권력을 장악하자 일부 지방세력들이 반발하였다. 하지만 대부분 연개소문에게 굴복하였으나, 안시성의 성주만이 유일하게 연개소문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연개소문의 호출을 받고도 전혀 응대하지 않았고, 이 때문에 연개소문은 군사를 동원하여 안시성을 공격한다. 그런데 안시성 성주는 군민들을 모두 성안에 집결시켜 체계적으로 정부군에 대항함으로써 수성전에 성공한다. 이에 연개소문은 안시성주의 굴복을 받아내기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고 자칫 내란이 일어날 것을 염려하여 안시성의 성주 직위를 그대로 유지시키고 더 이상 그를 소환하지 않았다. 또한 안시성 성주 역시 자신이 연개소문을 붙잡기 위해 군사를 일으키면 국가가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하고 영류왕이 제수한 안시성 성주직을 유지하는 것으로 사태를 종결짓는다.

 

이 사건 이후 연개소문은 안시성의 독자성을 인정한 채 나머지 성의 성주와 조정 관료들을 대폭 교체하여 자신의 권력기반을 안정시킨다. 그리고 당나라 침략에 대비하여 자신이 주관해오던 장성 축조 작업을 완결시키고, 한편으로 군사의 수를 대폭 늘려 전쟁에 대비했다.

 

 

 

고구려 왕 계보도 (삼국사기에 의거)


            해모수═╤═유화부인(하백의 딸)

                            │

            소서노═╤═ 1.추모(BC37~BC19)═╤═예씨부인

                           │                                        │

                        ┌┴┐       2.유리명왕(BC19~AD18)═╤═송양왕의 딸  

                    비류 온조                                        

                         ┌─┬─────┬────---┬────-┼─────------┐      

                       도절 해명 3.대무신왕(무휼) 여진 4.민중왕(해색주) 재사═╤═부여태후

                                           (AD 18~ 44)               (44~48)                         │

                          갈사국왕녀═╣  ╠═ 원비                             ┌──────┼─────---┐

                                           호동  5.모본왕(해우). 6.태조왕(궁)  7.차대왕(수성) 8.신대왕(백고)

                                                        (48~53)             (53~146)        (146~165)         (165 ~ 179)

                                                                                    ┌┴┐                  │                          │

                                                                                 막덕   막근              추안                       ㅣ

                     ┌────────---┬───────────┬─────────────┴┐ 

            9.고국천왕(이이모)     발기                ╔═10.산상왕(연우)╤후녀(주통부인)    계수

       (179~197)║                                                  ║        (197~227)     │

                         ╚ 우씨왕후(우소의 딸)═══=====╝                   11.동천왕(교체)(227~248)

                                   ┌────────────────────--┼──┐

관나부인(장발미녀)══12.중천왕(연불)(248~270) ═╤═연씨왕후  예물  사구

                                                                                     │

   ┌───────┬───────────────------┴───┬──┬──l 

 (??) 13.서천왕(약로)(270~292) ═╤═우씨왕후(우수의 딸)  달가 일우 소발 공주(?)══명림홀도

                   ┌──────────--┴───-─┐                                                        (부마도위)

             14.봉상왕(상부)(292~300)                 돌고

                ┌┴┐                                                   │

               (?) (?)                                15.미천왕(을불)(300~331)

                                                                             ├───────────┐

                                                         16.고국원왕(사유)(331~371)            무

                                                ┌────────┴────┐

                          17.소수림왕(구부)(371~384)  18.고국양왕(이련)(384~391) 

                                                                                              │

                                                                            19.광개토대왕(담덕)(391~413)

                                                                                              │

                                                                            20.장수왕(거련)(413~491)

                                                                                              ├──────┐

                                                                                            조다                 승천

                                                                                             │

                                                                            21. 문자왕(나운)(491~519)

                                ┌──────────────────┴─────┐

           22.안장왕(흥안)(518~531)══한씨미녀                     23.안원왕(보연)(531~545)  

                                                                                                                │

                                                                                                      24.양원왕(평성)(545~559)

                                                                                                                │                           

                                                                                                      25.평원왕(양성)(559~590)

                                                                      ┌────────────┼───────────┬──┐

                                                         26.영양왕(원)(590~618)  27.영류왕(건무)(618~642)    태양  평강공주═온달

                                                                                                                │                                    │                  (부마도위)

                                                                                                               환권                    28.보장왕(보장)(642~668)

                                                                                                                                   ┌──┬──┼──┬──┐

                                                                                                                                 복남   임무   덕남   덕무  안승

 

 

   자살,타살 등 일찍 죽은 왕자

   타살된 왕, ══ 부부관계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는 2대 유리왕의 아들이자, 6대 태조왕의 생부입니다.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돌고(固, ?~293)는 13대 서천왕의 차남으로 형인  14대 봉상왕에 의해 죽음을 당합니다. 15대 미천왕의 생부입니다.

 

. 장수왕의 아들조다(助多)는 생부인  20대  장수왕이  413~491년 오래 재위하는 바람에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먼저 죽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아들이  21대 문자왕(文咨王/?~519)으로  즉위하였습니다.

 

 

                        현재 고구려의 영토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과대포장한 것에서 부터
                  지나치게 소극적으로 표현한 것까지 매우 다양하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고구려 전성기 

 

                 

   

                                                  

당나라와의 전쟁

 

연개소문은 강경한 대외 정책을 고수했다. 그는 집권하자마자 백제와 함께 신라를 쳐 당항성을 빼앗았다. 한편으로는 643년(보장왕 2) 당나라의 숙달(淑達) 등을 초청하여 도교를 퍼뜨리고, 평양에 용인성을 쌓았다. 자주 신라를 침공하니 신라의 요청으로 당 태종은 고구려·신라 양국의 국교를 조정하려고 사신 장엄을 보냈으나, 연개소문은 이를 일축하고 오히려 당나라 사신을 구금까지 하였다.

 

화가 난 당 태종은 644년(보장왕 3년) 음력 12월에 연개소문의 시역을 성토한다는 명분을 걸고 군사를 내어 직접 고구려 침략에 나섰다. 요동에 진입한 이세적(李世勣)의 군대는 개모성을 함락시키고, 장량(張亮)의 수군은 비사성을 함락시켰다. 당 태종이 직접 독려하는 가운데 645년 음력 5월에는 요동성까지 함락시킨 뒤 백암성을 공격했다. 백암성이 음력 6월에 함락당하고 당군은 안시성으로 향했다.

 

연개소문은 고연수 고혜진을 보내 고구려군과 말갈군으로 구성된 15만의 구원군을 이끌고 출전시켰으나 안시성 동남쪽 주필산에서 대패하고 말았다. 여세를 몰아 당군은 안시성을 공격했으나 안시성 성주 양만춘의 완강한 저항으로 함락에 실패하여 퇴각할 수 밖에 없었다. 결국 고구려군의 후방 공략으로 보급로가 끊긴 당군은 고구려 군의 공격에 급하게 요택으로 퇴각하였으나 대패하였다. 이를 두고 신채호는 《조선상고사》에서 연개소문이 베이징 일대 또는 중국 내륙까지 당 태종을 추격했다고 주장했다. 그 후 고구려에서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사과했으나 당은 듣지 않고 몇 차례 군사를 파견하여 고구려를 공격했으나 성과가 없었다.

 

660년 신라와 당이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킨 뒤, 661년 고구려를 침략해 소정방이 이끄는 군대가 평양 부근까지 접근하기도 했다. 이때 그는 아들 연남생 막리지에 임명하여 압록강에 보냈으나 패배하였다. 이듬해 방효태가 이끄는 당군이 다시 침입하자 연개소문은 직접 사수 언덕에서 접전을 벌여 방효태와 그의 아들 13명을 죽이는 등 당나라군을 몰살시켰다. 이후 장남 연남생에게 대막리지를 물려주고 자신은 명예직인 태대막리지에 올랐다.

 

가족

아버지는 동부의 욕살이자 막리지 연태조(淵太祚)이며, 할아버지는 연자유(淵子遊), 증조부는 연광(淵廣)으로 모두 막리지를 역임하였다. 그의 아우로는 연정토가 있고, 세 아들은 연남생(淵男生), 연남건, 연남산이다. 일설에는 연개소문에게 젊은 누이가 있었다고도 한다.

 

죽음에 대한 논란

연개소문의 죽음에는 3가지 설이 있는데 신채호의 657년 사망설과, 662년 사망설, 그리고 666년 사망설 등이 있다. 연개소문은 지금의 평안남도 후창군 동림봉에 매장되었다고 전해진다.

 

조선상고사에서 연개소문의 평가

조선상고사를 저술한 신채호에 의하면 연개소문은 고구려 9백 년 이래로 전통의 호족공화(豪族共和)의 구제도를 타파하여 정권을 통일하였고, 장수왕 이래 철석같이 굳어 온 서수남진(西守南進) 정책을 변경하여 남수서진(南守西進)의 정책을 세웠고, 그래서 국왕 이하 대신 호족 수백 명을 죽여 자기의 독무대로 만들고, 서국(西國) 제왕 당태종(唐太宗)을 격파하여 지나 대륙의 침략을 시도했는데 그 선악현부(善惡賢否)는 별문제로 하고 당시에 고구려뿐 아니라 동방아시아에 전쟁사 중에서 유일한 중심 인물이라고 평가하였다.

 

 

 

중국인들의 생활에 남아있는 연개소문

 

사용자 삽입 이미지

드라마 '연개소문'에서는 연개소문(왼쪽)과 당태종 이세민이 라이벌로 등장한다. 그러나 중국의 전승에서 연개소문의 라이벌은 오히려 설인귀이다.

 

 중국 민중의 잠재의식에 공포의  대상으로 남아 있는 외국인 가운데 으뜸은  단연 연개소문이 아닐까 한다. 경극에서, 또 전승되는 설화.야사에서 연개소문이 악(惡)의 상징처럼 등장하는 사례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중국인들은 그들이 가장 존경하는 황제인 당 태종 이세민이 하마터면 연개소문에게 목숨을 잃을 뻔했고, 그에 따라 당나라가 멸망했을 수 있었다는 두려움을 갖고 있다.


 당(唐)이 어떤 나라인가. 중국 역사상 가장 화려한 문물을 꽃피운 나라로 그 시대 지구상에서 가장 앞선 선진 세계제국이었다. 그리고 그 당나라 번영의 기초를 닦은 제왕이 바로 '정관의 치'로 칭송하고 있는 당 태종(이하 이세민)이다. 그는 수(隋)나라를 멸하고 당나라를 건국한 실질적인 주역이었고, 아버지인 고조(이연)가 즉위한 뒤에는 태자인 형 건성과 동생을 '현무문의 변'을 일으켜 죽였다. 이에 고조는 이세민의 압력으로 황위를 이세민에게 물려준다. 황제가 된 이세민은,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이 중국사상 최고의 황제로 꼽을 만큼 업적을 쌓는다. 그의 통치시기를 '정관의 치(治)'라 하며, 그의 통치철학을 기록한 책 '정관정요'는 지금도 제왕학의 교과서로 일컬어진다.


 그런 이세민에게도 뜻대로 되지 않은 일이 있었으니 그것이 바로 고구려 정벌이었다. 서기 645년 그는 고구려 친정 길에 나섰지만 실패한다. 그것도 안시성 전투에서 화살을 맞아 한쪽 눈을 잃은 뒤 허겁지겁 퇴각하는 것으로 끝난다.


 현재 중국의 공식적인 사서인 '25사(史) 중에는 당 태종이 연개소문에게 처절하게 당한 내용이 등장하지 않는다. 중화사상을 드높이고자 중국에 치욕적인 역사적 사실은 철저하게 은폐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시 당나라 백성에게는 이세민의 처절한 패배가 곧 악몽이었으며, 그 끔찍한 기억은 구전. 기록 등을 통해 후손 대대로 전승한다. 그 기억이 이 시점까지 남아 있는 형태가 곧 경극이요, 설화요, 야사이다.


 연개소문과 이세민의 관계를 그린 경극에는 '독목관' , '살사문', '어니하'등이 있다. 한결같이 전쟁터에서나,  이세민이 사냥 나간 길에서 연개소문을 만나 죽음 일보 직전까지 몰렸다가 극적으로 구출된다는 내용이다. '설인귀과해정동백포기'라는 야사에는, 연개소문이 이세민을 중국 황제가 아닌 '소진왕'으로 낮춰 부르며, 내가 단지 일개 부대로도 네 땅을 피바다로 만들 수 있다고 호령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때 이세민은 겁에 질려 "황제인 것도 소용 없구나.누가 나를 구해주면 당나라 땅의 절반을 주겠다."고 울부짖는다. 참으로 비참한 패배인 것이다.


 그러면 중국의 경극, 설화는 연개소문의 막강함을 보여줘 공포를 전파하는 것으로 끝나는가. 물론 그렇지 않다. 거대한 악이 존재하면, 이를 쳐부수고 나라를 구하는 영웅이 당연히 등장하는 것이다. 그 인물이 TV 드라마 '대조영' '연개소문'에 등장하는 '설인귀'이다.


 강한 연개소문과 나약한 이세민을 그린 경극과 야사에는 이세민을 구해 결국 당나라를 구원하는 인물로 설인귀가 등장한다. 이세민이 위기에 처했을 때 설인귀가 번개처럼 등장해 연개소문을 죽이거나 사로잡아 사태를 반전시키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조영'의 설인귀 이덕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연개소문'의 설인귀 유태웅.

 

그렇다면 연개소문과 설인귀는 실제로 마주친 일이 있을까. 역사학자들은 그럴 수가 없다고 단정한다. 설인귀는 이세민의 고구려 침략 때 군졸로서 지원해 원정 길에 따라 나선다. 그가 두각을 나타낸 것이 인시성 전투이다. 이세민이 직접 거느린 당나라 군이 안시성을 처음 공격하자 고구려 군이 마주 나와 당 군대의 일부를 섬멸하기 시작했다. 이때 무명이던 설인귀가 과감히 나서 고구려 장군을 죽임으로써 비로서 이름을 알린 것이다. 이후 연개소문 생존시에도 당은 몇차례 고구려를 침범했고, 설인귀도 출전 장수 명단에 이름을 올렸지만 고구려의 대막리지 연개소문이 직접 전장에 나선 일은 없었다. 연개소문과 설인귀의 대면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다.


 그런데도 중국인들이 연개소문과 설인귀를 엮어, 설인귀가 연개소문을 꺾고 당나라를 구한 것처럼 설화를 지어낸 것은 그야말로 보상심리에서 나온 것이다. 예컨대 임진왜란이 끝난 뒤 사명대사나 박씨 부인이 도술을 써서 왜적을 무찔렀다는 내용의 군담소설이 유행해 우리 민중에게 위안을 준 거나 같은 맥락이다.


 설인귀는 훌륭한 장군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신라 침공에 두차례 실패하는 등 여러차례 패전도 기록했다. 그런데도 중국 민중의 영웅으로까지 떠오른 건 연개소문에 대한 공포를 희석하기 위한  심리적 방어기제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설인귀는 무명 소졸에서 발딱 일어나 대장군까지 지냈다. 그리고 고구려 멸망 때 평양성을 함락한 장본인이다. 중국인에게는 '최악의 강적' 연개소문에 비교할 만한 자격을 그나마 갖춘 것이다.


 설인귀는 그렇다 치고 그러면 이세민은? 중국 정사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위대한 군주가 아니었다는 것이 사학자들의 연구로 속속 밝혀지고 있다.


 우리 역사서 한단고기에는, 퇴각하는 이세민을 쫓아 연개소문이 친히 대군을 거느리고 장안까지 진격하자 이세민이 사람을 보내 항복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그래서 연개소문이 장안에 입성, 중국의 산서, 하북, 산동 일대의 땅을 받는 조건으로 항복을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이 것이 어쩌면 연개소문과 이세민이 맞붙은 고-당 전쟁의 실상일지 모른다.


연개소문과 이세민, 그리고 설인귀를 둘러싼 중국 민중의 전승이 전해주는 이야기에서 우리가 받아들일 진실은 단 하나 뿐이다. 전쟁은 고구려의 압도적인 승리로 끝났다는 것, 연개소문은 중국인들의 잠재의식에 지금도 공포의 상징으로 남아 있을 정도로 위대한 한민족의 조상이라는 사실이다.


<대표 참고서적: 김용만 저 '새로 쓰는 연개소문전'-바다출판사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