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고구려 실록: 제20대 장수왕 실록 본문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고구려 실록: 제20대 장수왕 실록

두바퀴인생 2009. 1. 6. 05:51

 

 

           고구려 실록: 제 20대 장수왕 실록

        (재위기간: 서기 413년10월-491년 12월,78년 2개월)

 

 

 

                          태왕릉과_장군총.jpg

 

                                   -어느 분이 찍은, 만주 땅, [jian, 지안](集安)에 있는,

                                                ‘태왕릉 (上)과 장군총(下)의 [이미지].

                                     각각, 광개토왕(廣開土王)과 장수왕(長壽王)의 릉이라 한다. -

 

 

 

 

 

태평성세를 일군 장수왕과 남북조 시대의 전개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맏아들이며, 이름은 '거련'이다. 394년에 태어났으며, 모후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409년 태자에 책봉되었고, 413년 10월에 광개토왕이 죽자 20살의 나이로 고구려 제20대 왕에 올랐다.

 

 

고구려 왕 계보도 (삼국사기에 의거)


            해모수═╤═유화부인(하백의 딸)

                         │

            소서노═╤═ 1.추모(bc37~19)═╤═예씨부인

                         │                                   │

                      ┌┴┐          2.유리명왕(bc19~ad18)═╤═송양왕의 딸  

                    비류 온조                                                 │

                         ┌─┬─────┬────┬────┼─────┐      

                       도절 해명 3.대무신왕(무휼) 여진 4.민중왕(해색주) 재사═╤═부여태후

                            (ad 19~ 44)               (44~48)                              │

                          갈사국왕녀═╣  ╠═ 원비                   ┌──────┼─────┐

                                           호동  5.모본왕(? ? ? ). 6.태조왕(궁)  7.차대왕(수성) 8.신대왕(백고)

                                     (49~53)          (54~146)     (146~165)    (165 ~ 179)         │

                                                                               ┌┴┐                │              │

                                                                           막덕   막근            추안             ㅣ

                ┌────────┬───────────┬─────────────┴─┐ 

            9.고국천왕(이이모)     발기                 ╔═10.산상왕(연우)═╤═후녀(주통부인)     계수

          (179~197)║                                      ║        (197~227)      │

                         ╚ 우씨왕후(우소의 딸)═══╝                   11.동천왕(교체)(227~248)

                                   ┌────────────────────┼──┐

관나부인(장발미녀)══12.중천왕(연불)(248~270) ═╤═연씨왕후      예물     사구

                                                                        │

   ┌───────┬──────────────┴───┬──┬──┬─┐ 

 (??) 13.서천왕(약로)(270~292) ═╤═우씨왕후(우수의 딸)  달가 일우 소발 공주(?)══명림홀도

                   ┌─────────┴──────┐                                            (부마도위)
             
14.봉상왕(상부)(292~300)                    돌고

                ┌┴┐                                             │

               (?) (?)                                15.미천왕(을불)(301~331)

                                                                      ├───────────┐

                                                         16.고국원왕(사유)(331~371)          무

                                                ┌────────┴────┐

                          17.소수림왕(구부)(371~384)       18.고국양왕(이연)(384~391) 

                                                                                              │

                                                                            19.광개토대왕(담덕)(391~412)

                                                                                              │

                                                                            20.장수왕(거련)(413~491)

                                                                                              ├──────┐

                                                                                            조다                 승천

                                                                                             │

                                                                            21. 문자왕(나운)(491~519)

                                ┌──────────────────┴─────┐

  22.안장왕(흥안)(519~531)══한씨미녀                                       23.안원왕(보연)(531~545)  

                                                                                                                │

                                                                                                      24.양원왕(평성)(545~559)

                                                                                                                │                           

                                                                                                      25.평원왕(양성)(559~590)

                                       ┌──────────┬────────┬───┐

                       26.영양왕(원)(590~618)  27.영류왕(건무)(618~642)  태양  평강공주═온달(부마도위)
                                                                        │                                        │
                                                                      환권                          28.보장왕(보장)(642~668)

                                                                                                   ┌──┬──┼──┬──┐

                                                                                                  복남   임무   덕남   덕무  안승

 

 

 

   자살,타살 등 일찍 죽은 왕자

   타살된 왕, ══ 부부관계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는 2대 유리왕의 아들이자,6대 태조왕의 생부입니다.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돌고(固, ?~293)는 13대 서천왕의 차남으로 형인  14대 봉상왕에 의해 죽음을 당합니다.15대 미천왕의 생부입니다.

. 장수왕의 아들인 조다(助多)는 생부인  20대  장수왕이  413~491년 오래 재위하는 바람에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먼저 죽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아들이  21대 문자왕(文咨王/?~519)으로  즉위하였습니다.

 



고구려왕 계보

 

   고구려 : BC 37년 개국~AD 668년 멸망 (28代 725년간)

  

순번

왕명(이름)

재위  연도

재위

기간

혈통 관계

1

동명성왕(주몽)

BC37년~BC19년

18년

해모수와 하백의 딸인 유화부인의 외아들.

부인은 예씨<자-2대 유리>와 연씨<소서노 자-비류, 온조>

고구려 개국시조이며 초대 군주.

2

유리명왕(유리)

BC19년~AD18년

37년

주몽과 왕후예씨의 장남. 부인은 송씨<자-도절, 해명, 3대 무휼, 여진, 4대 해색주>와 화희와 치희와 후비

3

대무신왕(무휼)

AD 18년~44년

26년

유리와 왕후송씨의 3남.

부인은 원비인 비류국 여인<자-5대 모본왕>과 갈사부여의 갈사왕의 손녀 해씨<자-호동>

4

민중왕(해색주)

AD 44년~48년

4년

유리와 첫째 왕후송씨의 5남. 무휼의 동생.

부인은 성씨불명

5

모본왕(해우)

AD 48년~53년

5년

무휼과 성씨불명 비류국 여인 사이의 차남(호동의제). 부인은 원비

6

태조왕(궁)

AD 53년~146년

93년

유리왕(琉璃王)의 손자이며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와 부여태후 금씨 사이의 아들로 모본왕(慕本王)이 죽은 뒤 대신들의 추대를 받아 7세에 즉위함.119살에 서거하여 한국 왕 중 최장수 왕이며 93년간 통치한 최장수 재임군주임.

부인은 성씨불명<자-막근, 막덕>

7

차대왕(수성)

AD 146년~165년

19년

고추가 재사와 부여태후 금씨와의 2남으로 태조왕의 동생.

부인은 성씨불명<자-추안>

8

신대왕(백고)

AD 165년~179년

14년

고추가 재사와 부여태후 금씨와의 3남으로 차대왕의 동생.

부인은 성씨불명<자-발기(拔奇). 9대 남무, 발기(發岐), 10대 연우, 계수>

9

고국천왕(남무)

AD 179년~197년

18년

신대왕의 차남으로 이름은 남무(男武) 혹은 이이모(伊夷謨)라 한다. 부인은 우씨

10

산상왕(연우)

AD 197년~227년

30년

신대왕의 아들이자 고국천왕의 동생으로 고국천왕이 아들이 없어 즉위하였다.

부인은  소후후녀<자-교체(동천왕)>

11

동천왕(교체)

AD 227년~248년

21년

산상왕과 소후후녀의 아들. 아명은 교체,  휘는 우위거(憂位居) 또는 위궁(位宮)라함

부인 성씨불명<자-12대 연불, 예물, 사구과 후궁 동해녀

12

중천왕(연불)

AD 248년~270년

22년

동천왕 아들.243년(동천왕 17) 태자가 되었고, 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부인은 연씨<자-13대 약로, 달가, 일우, 소발>과

관나부인<자-?>

13

서천왕(약로)

AD 270년~292년

22년

중천왕과 왕후연씨의 차남.

부인은 우씨<자-14대 상불, 15대 을불>

14

봉상왕(상불)

AD 292년~300년

8년

서천왕과 왕후 우씨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자-?>

15

미천왕(을불)

AD 300년~331년

31년

서천왕과 왕후 우씨의 차남.

부인은 주씨<자-16대 사유, 무>

16

고국원왕(사유)

AD 331년~371년

40년

미천왕과 왕후 주씨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자-17대 구부, 18대 이연>

17

소수림왕(구부)

AD371년~384년

13년

고국원왕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

18

고국양왕(이연)

AD 384년~391년

7년

고국원왕의 차남.

부인은 성씨불명<자-19대 담덕>

19

광개토대왕(담덕)

AD 391년~412년

21년

고국양왕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자-20대 거련, 승평>

20

장수왕(거련)

AD 413년~491년

78년

광개토대왕의 장남. 475년 백제 한성(漢城) 함락하고 개로왕 살해. 481년 신라 8성을 점령. 영토가 남은 아산만과 죽령(竹嶺), 서는 요하, 동은 홋카이도 훈춘, 북은 카이위안 개원까지 확장해 고구려 최전성기를 이루었다. 부인은 성씨불명<자-조다, 승천>

21

문자명왕(나운)

AD 491년~519년

28년

장수왕의 손자(조다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자-22대 흥안, 23대 보연>

22

안장왕(흥안)

AD 519년~531년

12년

문자명왕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

23

안원왕(보연)

AD 531년~545년

14년

문자명왕의 차남.

부인은 성씨불명<자-24대 평성, 세군>

24

양원왕(평성)

AD 545년~559년

14년

안원왕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자-양성>

25

평원왕(양성)

AD 559년~590년

31년

양원왕의 아들. 제일부인 성씨불명<자-26대 원, 평강공주>. 제2부인 성씨불명<자-27대 영류왕, 28대 보장왕>

26

영양왕(원)

AD 590년~618년

18년

평원왕의 제일부인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자-환치>

수나라 문제와 양제가 30만과 113만 대군으로 침공해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대승해 수나라가 망하고 당나라가 건국됐다.

27

영류왕(건무)

AD 618년~642년

24년

평원왕의 제이부인의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자-환권>

28

보장왕(보장)

AD 642년~668년

26년

평원왕의 제이부인의의 차남.

제1부인 성씨불명<자-복남, 임무, 덕무>

제2부인 성씨불명<자-안승>

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한 연개소문에 의하여 왕위에 올랐으며, 당나라와 신라 연합군의 파상적인 공격을 받아 고구려가 멸망하자 체포되어 당나라에 포로로 끌려가 복국(復國)을 꾀하였다가 실패한 뒤 사망한 고구려의 마지막 임금.

 

 

장수왕 시대는 중국에서는 이른바 '5호 16국 시대'가 종결되고, '남북조 시대'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때문에 중국 대륙은 다시 한 번 거대한 소용돌이에 휘말리고, 고구려는 이러한 상황에 적절하게 이용하며 세력 팽창의 기회로 삼는다. 그 과정에서 장수왕은 백제의 한성을 공격하여 무너뜨리고 개로왕을 참수하여 소수림왕 이후 지속적으로 계속되던 고국원왕에 대한 복수전을 마무리 한다.

 

장수왕이 즉위할 무렵 중국 대륙의 북방에는 선비족 탁발부가 세운 북위가 세력을 팽창하여 신진세력으로 등장한 북연을 압박하고 있었다. 북연은 이때 내부적인 변화를 겪고 있었는데, 북연의 초대 왕인 고운이 부하에게 살해되자 실권자인 풍발이 사태를 수습하고 왕위에 올랐다. 풍발은 후연의 중위장군으로 있다가 군주인 모용희가 학정을 거듭하자 그를 살해하고 정권을 잡은 다음 고운을 왕으로 추대했던 인물이다. 그는 나중에 고운이 죽은 후에 왕위에 올라 스스로 대왕으로 높이고 세력을 확대했다. 이 바람에 북위와 잦은 충돌을 겪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북방이 이렇게 변화를 겪고 있는 동안 남방에서는 동진이 남연을 병합하고 오랫동안 지속되던 농민봉기를 종결시켰으며, 서방에서는 서진이 남량을 압박하여 정복을 눈앞에 두었다.

 

이처럼 국제정세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가운데 장수왕은 외교관계를 안정시키기 위해 우선 강남의 맹주인 동진과 화친을 맺고 북방의 상황을 관망하였다. 그리고 북위의 세력이 팽창하자 그들과도 외교관계를 맺고 북연을 견제하였다.

 


 

한편 내부적으로 왕권의 위상을 높이고 조정을 일신하기 위해 427년에 평양성으로 천도하였다. 이로써 고구려 조정은 343년에 고국원왕이 동황성으로 도읍한 이래 84년만에 다시 평양성으로 돌아간 것이다.

 

이렇듯 고구려가 내부적으로 안정시키며 국제정세를 관망하고 있는 동안 중국은 여전히 세력다툼을 벌이며 새로운 형국으로 치달았다.남방의 맹주 동진은 후진을 멸망시켜 세력을 확대했지만 한편으로 오랜 농민봉기로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던 가운데 농민봉기 중 세력을 확대한 장군 유유가 동진 왕실을 협박하여 왕위를 찬탈하고 왕에 오른 후 국호를 송으로 바꾸었다. 이로써 동진시대는 막을 내리고 대륙의 형세는 새로운 형국으로 접어들어 이른바 '남북조 시대'를 예고했다.

 

대륙의 남쪽에서 이처럼 새로운 왕조가 들어설 때 북방의 맹주를 자처하고 있던 북위 역시 세력을 확대하여 북방의 통일을 꿈꾸고 있었다. 남방에서 송이 건립될 당시 북방에서는 아직 북위, 서량, 북량, 북연, 서진, 하 등의 나라가 패권을 다투고 있었는데, 북위는 이들의 싸움을 적절히 이용하면서 화북통일작업을 지속하였다. 서량이 421년 북량에게 멸망되고, 서진이 431년 하에게 멸망되었다.  그러나 하나라는 그 해에 무흔의 침략을 받아 멸망되었으며, 북방은 북위,북연,북량 등으로 축소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진남북조 시대의 중국 국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진남북조 시대의 국가 먹이사슬>

 

 

사용자 삽입 이미지

<5-6세기 남북조 시대의 대립상황>

 

 

사용자 삽입 이미지

<3-4세기 : 5호 16국 시대의 후조 왕국 위치>

 

 

 

이들 나라의 패권다툼 중에서 북위와 북연의 싸움은 고구려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들의 싸움은 북연 왕 풍발이 살아 있을 때만 해도 대등한 양상을 보였으나 430년 풍발이 죽자 북위가 유리해졌다.  풍발이 병사하자 풍발의 아우 풍흥과 아들 풍익이 왕위다툼을 벌였고, 결국 풍흥이 조카인 풍익과 그 형제들을 제거하고 새로운 왕으로 등극하였다.

 

그러나 왕위다툼은 조정을 동요케 해 국가 전체의 위기로 이어졌으며, 한편으론 북위의 침략을 용이하게 하였다. 그 결과 북연이 북위의 힘에 밀려 몰락을 눈앞에 두었고, 마침내 풍흥은 서기 435년 고구려에 밀사 양이를 보내 자신이 의탁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편지를 보내기에 이른다. 북위의 기세로 봐서 도저히 더 이상 버틸 수 없겠다는 판단을 내린 풍흥은 고구려에 의탁하기로 한 것이다. 이에 장수왕은 풍흥의 밀사에게 긍정적인 회신을 주었고 풍흥은 436년 4월 북위가 대군을 동원하여 북연의 백낭성을 공격하여 승리하였고, 풍흥은 급히 고구려에 밀사를 보내 도움을 요청하였다.

 

풍흥으로부터 구해달라는 요청을 받은 장수왕은 장수 갈로와 맹광에게 수만의 군사를 주어 북연의 밀사 양이와 함께 풍흥을 맞아오도록 하였다. 고구려군이 자신을 맞이하려 하자 풍흥은 동성인 용성에 남아 있던 백성들을 동원하여 동쪽의 고구려 땅으로 이주시키고 궁궐에 불을 지르고 고구려 땅으로 향하였다.

 

북위는 이 소식을 듣고 사신 봉발을 고구려에 보내 풍흥을 위나라로 압송할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장수왕은 풍흥이 위나라로 갈 경우 고구려를 위태롭게 할 수도 있다고 판단하고 북위의 요청을 거절했다. 이 때문에 북위는 고구려를 공격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으나 실행에 옮기지는 못하였다.

 

고구려의 도움으로 가까스로 목숨을 부지한 풍흥은 요동성에 머물면서 재기를 다짐했다. 그런데 풍흥은 자신의 처지를 생각하지도 않은 체 오만한 태도로 장수왕에게 함부로 대하였다. 이에 분노한 장수왕은 438년 3월 풍흥을 평곽으로 이동시켰다가 다시 북풍에 머물도록 하였다. 또한 풍흥의 시종을 빼았고 태자를 볼모로 잡았다. 그러자 풍흥은 분개하여 남조의 송나라에 사신을 보내 자신을 받아 달라고 요청했다.

 

풍흥의 요청을 받은 송의 유유는 그를 받아들이기로 하고, 사신 왕백구 등을 고구려에 보내 풍흥을 자신들에게 넘겨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장수왕은 풍흥이 송으로 가는 것이 고구려에 이롭지 못하다고 판단하고 장수 손수와 고구로 하여금 군사를 이끌고 가서 풍흥과 그의 가족들을 죽이라고 하였다.

 

손수와 고구는 북풍에서 풍흥과 그의 가족 10여 명을 참살했다. 하지만 송의 사신 왕백구가 풍흥의 군사 7천을 이끌고 손수와 고구가 이끄는 고구려 군을 습격하여 고구는 죽고 손수는 생포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장수왕은 급히 대군을 동원하여 풍흥의 군사를 치고 왕백구를 사로 잡았다. 그리고 사신편에 송으로 압송시켰다. 이에 송의 유유는 고구려의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왕백구를 감옥에 가뒀다가 고구려의 눈을 피해 석방하였다.

 

한편, 이 무렵 북위의 왕 탁발도는 북량을 공격하였고, 439년에 마침내 북량을 함락시키고 화북을 통일하였다. 이로써 중국은 남쪽엔 한족의 송왕조가, 북쪽엔 선비의 위 왕조가 성립되어 본격적인 '남북조 시대'를 열었다. 이는 중국이 16국이 난립하던 혼란기를 종식하고 안정기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중원이 안정되자 장수왕은 오랫동안 미뤄왔던 백제에 대한 복수전을 다시 전개한다. 하지만 이를 눈치챈 백제는 이미 427년에 신라와 화친을 맺고 고구려의 침략에 대비하고 있었다. 그런 가운데 440년에 신라가 고구려의 한반도쪽 변경을 침략하여 변방 장수를 죽이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고구려는 군사적 대응을 검토했고, 다급하게 된 신라는 사신을 고구려에 보내 사죄했다. 그러자 고구려는 일단 신라의 사죄를 받아들여 한동안 평화를 유지했다.

 

 


 

 

하지만 시간이 갈 수록 신라가 백제와 친해지자 장수왕은 454년 7월에 군사를 동원하여 신라의 북쪽 변경을 공격하였고, 이듬해 10월에는 백제를 공격하였으나 나제동맹군에게 밀려 공격을 중지하였다.

 

이 무렵 북위는 세력을 강화하고 안정을 확보하여 고구려에 압박을 가하고 있었는데, 466년에는 위의 문명태후가 위 왕의 후궁이 미비하다 하여 고구려의 공주를 위에 시집보낼 것을 요구하였다. 하지만 장수왕의 딸은 이미 출가한 상태였기 때문에 장수왕은 아우의 딸을 대신 보내겠다고 답신했다. 위는 이 답신을 받아들여 탁발진과 상서 이부를 고구려에 보내 폐백을 전달하였다.

 

그러나 고구려의 중신 가운데 하나가 양국의 혼인을 반대하고 나섰다. 그는 북위가 이미 북연과 혼인관계를 맺은 후 북연을 공격한 사례를 들면서, 위가 혼인 운운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고구려의 지형을 탐색하기 위한 수작이라고 주장했던 것이다.  그의 주장이 옳다고 판단한 장수왕은 위에 편지를 보내 아우의 딸이 죽었다고 거짖말을 하였다. 그러자 위는 종실의 딸이라도 달라고 요구하였다. 하지만 장수왕은 차일피일 미루면서 이행하지 않았다. 그러는 사이 위 왕이 바뀌어 결국 혼인 문제는 무효화되었다.

 

이렇듯 위와 대등한 관계를 형성하여 내정을 안정시키던 장수왕은 468년 2월에 말갈 군사 1만을 동원하여 신라의 실직주성을 빼았는다. 이 때부터 고구려군과 나제동맹군의 치열한 전쟁이 이어진다. 469년에는 백제가 군사를 동원하여 고구려의 남쪽 변경을 침략하였고, 위에 사신을 보내 고구려를 공격토록 충동하였다. 하지만 위가 거절하여 백제의 의도가 관철되지 않았다.

 

이 소식을 들은 고구려는 백제를 공략하기 위해 승려 도림을 백제에 잠입시켜 개로왕을 만나 그의 신임을 얻은 후에 개로왕을 충동질하여 대대적인 토목공사를 벌이도록 하였다. 이로인해 백성들의 원성이 높아지자 고구려는 475년에 대대적인 군사작전으로 백제 궁성까지 공격하여 개로왕을 사로잡아 아차성 밑에서 참수하였다.

 

이로써 고구려는 소수림왕 이래 국가의 숙원사업이던 고국원왕에 대한 원수를 갚았다. 하지만 신라의 원군 1만이 백제를 지원하기 위해 출동하자 고구려는 점령했던 한성을 포기하고 물러나야만 했다. 이 사건으로 백제는 한성이 완전히 붕괴되어 도읍을 웅진(공주)로 옮겼다.

 

고구려가 한반도를 공략하고 있는 동안 중국 남쪽에서는 송 왕조가 몰락하고 제 왕조가 일어섰다. 송은 450년경부터 북위의 남침을 받아 국력이 약화되어 있었는데, 설상가상으로 무장과 왕족들이 군력다툼을 벌이며 내전을 벌였다. 그런 와중에 군벌을 형성한 소도성은 479년에 반란을 일으켜 송의 유씨 왕조를 폐하고 제나라를 세웠던 것이다.

 

제를 세운 소도성은 왕으로 등극하여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 화친을 요구했고, 고구려는 이 화친을 받아들여 사신으로 여노를 보냈다. 하지만 북위는 이같은 양국관계를 인정할 수 없다며 바다에서 여노를 붙잡았다. 이 때문에 한동안 고구려와 위가 외교적 마찰로 대립하였으나 위가 여노를 놓아줌으로써 사태는 해결되었다. 그 후 장수왕은 다시 제나라에 사신을 보내 화친을 맺었다.

 

이렇듯 장수왕 시대 전반에 걸쳐 고구려는 중국 국가들과 원만한 외교관계를 맺으면서 내정을 안정시켰다. 하지만 백제와 신라에 대해서는 강격책을 쓰며 영토를 확장하였다. 이에 고구려 영토는 한반도에서 가장 크게 확장되었다.

 

장수왕은 이와같은 외교와 내정을 안정시키며 한편으로는 영토를 확장하고 태평성대를 구가하면서 무려 78년이란 오랜 세월 동안 재위했다. 그러다가 491년 12월, 백발의 흰머리를 날리며 전장을 누비면서 노익장을 과시하던 그는 98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하였다.

 

부고를 들은 북위의 왕 탁발원굉은 힌색의 위모관을 쓰고 베로 만든 심의를 입고서 동쪽의 고구려를 향해 애도식을 거행하였으며, 그는 사신 알자 복야 안상을 고구려에 보내 문상을 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애도는 고구려와 북위의 외교관계가 어떠하였는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다.

 

장수왕은 1명의 왕후에게서 고추가 조다와 공주 1명을 얻었으며, 조다는 부인에게서 나은(문자명왕)을 얻고 일찍 죽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공주에 대한 기록도 시집갔다는 기록외에 구체적인 행적은 없다.

                                                                                              

                                                                                                                   -서초동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