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고구려 실록 : 민중왕-모본왕-태조왕 본문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고구려 실록 : 민중왕-모본왕-태조왕

두바퀴인생 2008. 8. 24. 06:26

 

 

고구려 실록 : 제4대 민중왕-제5대 모본왕-제6대 태조왕

 

제4대 민중왕(재위 서기 44년 10월- 서기 48년 모월, 약 4년)

 

       

 

민중왕은 유리왕의 다섯째 아들이자 유리면왕의 제2왕후 송씨 소생이며, 이름은 해색주이다.

삼국사기는 그의 즉위에 대해 "대무신왕의 아우이며, 대무신왕이 죽었을 때 태자가 아직 어린 나이로 정사를 담당할 수가 없었다. 이에 따라 백성들이 해색주를 왕으로 세웠다." 고 쓰고 있다.

 

그의 신상에 대한 기록은 이것이 전부이다. 하지만 대신들이 그를 왕으로 추대한 것을 보면 그가 대무신왕의 동복 아우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 역시 대무신왕과 마찬가지로 유리면왕의 제2왕후 송씨 소생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오늘은 고구려의 역대왕 게보도는 다음과 같다.

 

고구려 왕 계보도 (삼국사기에 의거)


            해모수═╤═유화부인(하백의 딸)

                         │

            소서노═╤═ 1.추모(bc37~19)═╤═예씨부인

                         │                                   │

                      ┌┴┐          2.유리명왕(bc19~ad18)═╤═송양왕의 딸  

                    비류 온조                                                 │

                         ┌─┬─────┬────┬────┼─────┐      

                       도절 해명 3.대무신왕(무휼) 여진 4.민중왕(해색주) 재사═╤═부여태후

                            (ad 19~ 44)               (44~48)                              │

                          갈사국왕녀═╣  ╠═ 원비                   ┌──────┼─────┐

                                           호동  5.모본왕(? ? ? ). 6.태조왕(궁)  7.차대왕(수성) 8.신대왕(백고)

                                     (49~53)          (54~146)     (146~165)    (165 ~ 179)         │

                                                                               ┌┴┐                │              │

                                                                           막덕   막근            추안             ㅣ

                ┌────────┬───────────┬─────────────┴─┐ 

            9.고국천왕(이이모)     발기                 ╔═10.산상왕(연우)═╤═후녀(주통부인)     계수

          (179~197)║                                      ║        (197~227)      │

                         ╚ 우씨왕후(우소의 딸)═══╝                   11.동천왕(교체)(227~248)

                                   ┌────────────────────┼──┐

관나부인(장발미녀)══12.중천왕(연불)(248~270) ═╤═연씨왕후      예물     사구

                                                                        │

   ┌───────┬──────────────┴───┬──┬──┬─┐ 

 (??) 13.서천왕(약로)(270~292) ═╤═우씨왕후(우수의 딸)  달가 일우 소발 공주(?)══명림홀도

                   ┌─────────┴──────┐                                            (부마도위)
             
14.봉상왕(상부)(292~300)                    돌고

                ┌┴┐                                             │

               (?) (?)                                15.미천왕(을불)(301~331)

                                                                      ├───────────┐

                                                         16.고국원왕(사유)(331~371)          무

                                                ┌────────┴────┐

                          7.소수림왕(구부)(371~384)       18.고국양왕(이연)(384~391) 

                                                                                              │

                                                                            19.광개토대왕(담덕)(391~412)

                                                                                              │

                                                                            20.장수왕(거련)(413~491)

                                                                                              ├──────┐

                                                                                            조다                 승천

                                                                                             │

                                                                            21. 문자왕(나운)(491~519)

                                ┌──────────────────┴─────┐

  22.안장왕(흥안)(519~531)══한씨미녀                                       23.안원왕(보연)(531~545)  

                                                                                                                │

                                                                                                      24.양원왕(평성)(545~559)

                                                                                                                │                           

                                                                                                      25.평원왕(양성)(559~590)

                                       ┌──────────┬────────┬───┐

                       26.영양왕(원)(590~618)  27.영류왕(건무)(618~642)  태양  평강공주═온달(부마도위)
                                                                        │                                        │
                                                                      환권                          28.보장왕(보장)(642~668)

                                                                                                   ┌──┬──┼──┬──┐

                                                                                                  복남   임무   덕남   덕무  안승

 

 

 

   자살,타살 등 일찍 죽은 왕자

   타살된 왕, ══ 부부관계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는 2대 유리왕의 아들이자,6대 태조왕의 생부입니다.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돌고(固, ?~293)는 13대 서천왕의 차남으로 형인  14대 봉상왕에 의해 죽음을 당합니다.15대 미천왕의 생부입니다.

. 장수왕의 아들인 조다(助多)는 생부인  20대  장수왕이  413~491년 오래 재위하는 바람에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먼저 죽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아들이  21대 문자왕(文咨王/?~519)으로  즉위하였습니다.

 



고구려왕 계보

 

   고구려 : BC 37년 개국~AD 668년 멸망 (28代 725년간)

  

순번

왕명(이름)

재위  연도

재위

기간

혈통 관계

1

동명성왕(주몽)

BC37년~BC19년

18년

해모수와 하백의 딸인 유화부인의 외아들.

부인은 예씨<자-2대 유리>와 연씨<소서노 자-비류, 온조>

고구려 개국시조이며 초대 군주.

2

유리명왕(유리)

BC19년~AD18년

37년

주몽과 왕후예씨의 장남. 부인은 송씨<자-도절, 해명, 3대 무휼, 여진, 4대 해색주>와 화희와 치희와 후비

3

대무신왕(무휼)

AD 18년~44년

26년

유리와 왕후송씨의 3남.

부인은 원비인 비류국 여인<자-5대 모본왕>과 갈사부여의 갈사왕의 손녀 해씨<자-호동>

4

민중왕(해색주)

AD 44년~48년

4년

유리와 첫째 왕후송씨의 5남. 무휼의 동생.

부인은 성씨불명

5

모본왕(해우)

AD 48년~53년

5년

무휼과 성씨불명 비류국 여인 사이의 차남(호동의제). 부인은 원비

6

태조왕(궁)

AD 53년~146년

93년

유리왕(琉璃王)의 손자이며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와 부여태후 금씨 사이의 아들로 모본왕(慕本王)이 죽은 뒤 대신들의 추대를 받아 7세에 즉위함.119살에 서거하여 한국 왕 중 최장수 왕이며 93년간 통치한 최장수 재임군주임.

부인은 성씨불명<자-막근, 막덕>

7

차대왕(수성)

AD 146년~165년

19년

고추가 재사와 부여태후 금씨와의 2남으로 태조왕의 동생.

부인은 성씨불명<자-추안>

8

신대왕(백고)

AD 165년~179년

14년

고추가 재사와 부여태후 금씨와의 3남으로 차대왕의 동생.

부인은 성씨불명<자-발기(拔奇). 9대 남무, 발기(發岐), 10대 연우, 계수>

9

고국천왕(남무)

AD 179년~197년

18년

신대왕의 차남으로 이름은 남무(男武) 혹은 이이모(伊夷謨)라 한다. 부인은 우씨

10

산상왕(연우)

AD 197년~227년

30년

신대왕의 아들이자 고국천왕의 동생으로 고국천왕이 아들이 없어 즉위하였다.

부인은  소후후녀<자-교체(동천왕)>

11

동천왕(교체)

AD 227년~248년

21년

산상왕과 소후후녀의 아들. 아명은 교체,  휘는 우위거(憂位居) 또는 위궁(位宮)라함

부인 성씨불명<자-12대 연불, 예물, 사구과 후궁 동해녀

12

중천왕(연불)

AD 248년~270년

22년

동천왕 아들.243년(동천왕 17) 태자가 되었고, 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부인은 연씨<자-13대 약로, 달가, 일우, 소발>과

관나부인<자-?>

13

서천왕(약로)

AD 270년~292년

22년

중천왕과 왕후연씨의 차남.

부인은 우씨<자-14대 상불, 15대 을불>

14

봉상왕(상불)

AD 292년~300년

8년

서천왕과 왕후 우씨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자-?>

15

미천왕(을불)

AD 300년~331년

31년

서천왕과 왕후 우씨의 차남.

부인은 주씨<자-16대 사유, 무>

16

고국원왕(사유)

AD 331년~371년

40년

미천왕과 왕후 주씨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자-17대 구부, 18대 이연>

17

소수림왕(구부)

AD371년~384년

13년

고국원왕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

18

고국양왕(이연)

AD 384년~391년

7년

고국원왕의 차남.

부인은 성씨불명<자-19대 담덕>

19

광개토대왕(담덕)

AD 391년~412년

21년

고국양왕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자-20대 거련, 승평>

20

장수왕(거련)

AD 413년~491년

78년

광개토대왕의 장남. 475년 백제 한성(漢城) 함락하고 개로왕 살해. 481년 신라 8성을 점령. 영토가 남은 아산만과 죽령(竹嶺), 서는 요하, 동은 홋카이도 훈춘, 북은 카이위안 개원까지 확장해 고구려 최전성기를 이루었다. 부인은 성씨불명<자-조다, 승천>

21

문자명왕(나운)

AD 491년~519년

28년

장수왕의 손자(조다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자-22대 흥안, 23대 보연>

22

안장왕(흥안)

AD 519년~531년

12년

문자명왕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

23

안원왕(보연)

AD 531년~545년

14년

문자명왕의 차남.

부인은 성씨불명<자-24대 평성, 세군>

24

양원왕(평성)

AD 545년~559년

14년

안원왕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자-양성>

25

평원왕(양성)

AD 559년~590년

31년

양원왕의 아들. 제일부인 성씨불명<자-26대 원, 평강공주>. 제2부인 성씨불명<자-27대 영류왕, 28대 보장왕>

26

영양왕(원)

AD 590년~618년

18년

평원왕의 제일부인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자-환치>

수나라 문제와 양제가 30만과 113만 대군으로 침공해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대승해 수나라가 망하고 당나라가 건국됐다.

27

영류왕(건무)

AD 618년~642년

24년

평원왕의 제이부인의의 장남.

부인은 성씨불명<자-환권>

28

보장왕(보장)

AD 642년~668년

26년

평원왕의 제이부인의의 차남.

제1부인 성씨불명<자-복남, 임무, 덕무>

제2부인 성씨불명<자-안승>

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한 연개소문에 의하여 왕위에 올랐으며, 당나라와 신라 연합군의 파상적인 공격을 받아 고구려가 멸망하자 체포되어 당나라에 포로로 끌려가 복국(復國)을 꾀하였다가 실패한 뒤 사망한 고구려의 마지막 임금.

 

 

 

 

 민중왕이 왕위에 오른 것은 대무신왕이 생을 마감한 서기 44년 10월이었다. 왕위에 오른 그는 그해 11월 많은 죄수들을 사면하고, 이듬해 3월에는 신하들에게 큰 연회를 베풀어 새로운 왕의 즉위를 알렸다.

 

민중왕은 재위기간 중 천재지변에 시달리다가 백성들이 굶어죽고 가믐으로 농작물이 황폐화되는 등 고통을 받게되는데 이러한 국가의 위기가 계속되다가 재위 4년만에 병이 악화되어 죽음을 맞는다.

 

 

제5대 모본왕(재위 서기 48년 모월- 53년 11월, 약 5년)

 

모본왕은 대무신왕의 아들로 대무신왕의 첯번째 왕후의 소생이며, 이름은 해우이다. 서기 32년에 태자에 책봉되었다. 서기 44년 대무신왕이 죽자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대신 숙부인 민중왕(해색주)가 왕위에 오른다. 그리고 48년 민중왕이 짧은 재위를 마치고 죽자 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니 바로 제5대 모본왕이다.

 

모본왕의 즉위 과정은 순탄하지는 못했다.

 

모본왕의 어머니는 대무신왕의 정비였다. 하지만 그녀는 오랫동안 아들을 낳지 못했다. 그 때문에 대무신왕은 후궁을 맞이하게 된다. 새로 후궁으로는 갈사왕의 손녀 해씨였다. 그녀는 얼마가지 않아 아들을 낳았는데, 대무신왕은 득남의 기쁨으로 아이의 이름을 호동이라 지었다.

 

호동은 총명하고 뛰어난 아이로, 장성함에 따라 그의 뛰어남은 주변 국가에도 알려지게 되었다.

 

그렇게 호동의 명성이 드높아지고 있을 때 뜻밖에도 제1왕후가 아들을 낳았다. 대무신왕은 그 아이의 이름을 해후라 지었다.

 

해후가 아직 어린 나이였을 때 호동은 이미 낙랑공주와 결혼하여 낙랑 정복의 꿈을 키우고 있었다. 이렇게 되자 호동은 차기 왕감으로 지목되었고, 그때부터 고구려 조정은 왕위 계승을 둘러싼 치열한 암투가 시작된다.

 

암투가 벌어지는 가운데 제1왕후는 왕위 계승권을 확보하기 위해 호동을 궁지에 몰아넣는다. 말하지면 호동이 태자에 책봉되리라는 생각에 거만하고 방자하여 어머니인 자신을 능멸하고 심지어는 욕보이려 했다는 말을 꾸며 호동을 벌 줄 것을 왕에게 간청했던 것이다. 그리고 마침내 대무신왕은 그녀의 간청을 받아들여 호동에게 사실 진위를 추궁하자 호동은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며 자살을 감행한다.

 

이 사건은 서기 32년 11월에 발생한다. 그리고 다음달에 대무신왕은 해후를 태자에 책봉한다. 이 때 해후는 기껏 1-2살 정도밖에 안되었다. 그후 12년 후에 매무신왕이 죽었으니 이 때 해후는 아직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섭정할 모후도 죽고 없는지라 태자는 졸지에 천덕꾸러기로 전락한다.

 

정식으로 태자에 책봉되었으나 왕위에 오르지 못한 해후는 민중왕이 왕위에 올라있던 4년 동안 누차에 걸쳐 죽음의 위기를 넘겼을 것이다. 해후는 민중왕에게 위협적인 존재였을 것이고 어떤 빌미만 있으면 그는 죽음을 면치 못했을 것이다. 제2왕후와 호동과 낙랑공주를 따르던 사람들로부터 미움도 받았을 것이다.

 

하지만 요행히도 해후는 살아남았다. 그리고 4년만에 민중왕이 죽자 꿈에도 그리던 왕의 자리에 오른다. 이 때 해후는 기껏 17-18세 정도였을 것이다.

 

<삼국사기>에 모본왕에 대한 기록은

"모본왕은 성질이 포악하고 어질지 못하여 나랏일을 돌보지 않으니, 백성들이 그를 원망하였다."

 

이처럼 모본왕은 그다지 어질지 못했던 모양이다. 그러나 처음부터 그러지는 않았다고 한다.

 

모본왕은 즉위 이듬해인 서기 49년 2월에 대군을 동원하여 한의 북평,어양,상곡(현재의 북경 근처),태원(현재 화북 지방의 태원시로 황하 동쪽 근거리에 있음) 등을 습격하여 빼았는다.  이 지역들은 장안에서 그리 멀지 않는 지역으로 요서 지역을 정벌하고, 황하 동쪽을 거의 장악하였던 것이다. 이에 당황한 한의 유수는 고구려에 한의 요동 태수 채용을 보내 화친을 제의한다. 요동 태수는 고구려가 점령한 지역을 통치하던 한의 지방 관리였다.

 

 

한의 화친 제의를 받아들인 고구려는 한과 한동안 평화가 지속된다.

 

이무렵 고구려는 이상 기후로 홍수로 20여 개의 산이 무너지고 이듬해에는 서리와 우박이 심해 농사를 망치자 국고를 열어 빈민을 구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연재해는 정세의 불안을 가져와 어린 시절 불안한 세월을 보낸 모본왕은 주변 사람들과 신하들을 불신하게 된다.

 

<삼국사기>에는 이렇게 적고 있다.

" 모본왕 4년, 왕이 갈수록 포악해져, 앉을 때눈 사람을 깔고 앉으며, 누울 때는 사람을 베고 누웠다.만약 사람이 조금이라도 움직이면 가차없이 목을 베었다. 신하 중에서 간하는 자가 잇으면 그에게 활을 쏘았다."

 

이 짧은 기록은 그의 폭정이 얼마나 대단했는지를 잘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그의 폭정은 그다지 오래가지 못했다. 모본왕의 충직한 근신 가운데 두로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항상 불안해 하였다. 아무리 충직한 신하라도 언제 죽을 지 모르기 때문이었다. 하루는 어떤 사람이 �아와서 눈물을 흘리고 있는 그에게 "사내 대장부가 왜 눈물을 흘리는가. 옛 사람의 말에 '나를 사랑하면 임금이요, 나를 학대하면 원수'라 했다. 백성의 원수인 왕을 죽이라" 고 했다.

 

이 말에 용기를 얻은 두로는 칼을 품고 궁궐로 왕을 �아가서 단번에 모본왕의 목을 쳤다. 모본왕은 즉사하였고, 신하들은 유리명왕의 여섯째 아들 재사에게서 태어난 아들 궁을 새 왕으로 추대했다. 이가 바로 고구려 제6대 태조왕이다.

 

 

제6대 태조왕 실록

 

태조왕의 고토회복과 대국으로 성장하는 고구려

 

모본왕을 축출한 고구려 조정은 나이 어린 태조를 옹립하여 고조선의 옛 영토를 회복하는 데 주력한다. 이 같은 정책으로 고구려는 요서를 완전히 장악하는 한편 산동반도 너머까지 그 영향력을 확대하여 후한(동한)과 함께 명실공히 대륙의 맹주로 부상한다. 이 때부터 고구려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고 종주국으로서의 면모를 드러낸다.

 

태조왕은 유리명왕의 여섯째 아들 구추가 재사의 아들이며, 부여 출신의 태후 해씨 소생이다. 서기 47년에 태어났으며, 아명은 어수, 이름은 궁이다. 서기 53년 11월 두로에 의해 모본왕이 살해되자 7살의 어린 나이로 고구려 제6대 왕에 올랐다. <후한서>의 기록에 의하면 궁은 "태어나면서부터 눈을 열어 능히 세상을 꿰뚫어볼 수 있었다." 고 전한다. 그리고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오른 후에 소년으로 성장하면서 그 용맹함이 드러나기 시작하였는데, 이 소식을 들은 후한 사람들은 두려움에 떨었다고 한다.

 

태조가 왕위에 오르자 모후인 태후 해씨가 수렴청정하였는데, 해씨는 과감하고 강단있는 여자였던 모양이다. 그녀가 수렴청정 할 당시 고구려는 국방에 힘을 기울여는 한편 고조선의 고토회복에 주력한다. 서기 55년 2월에는 요서 지역에 10개 성을 쌓아 동한의 침략에 대비했으며, 이듬해인 서기 56년 7월에는 동옥저를 멸하여 동쪽 국경을 창해(현재의 동해)까지 확대하였다.

 

이러한 해태후의 정책을 이어받은 태조는 서기 68년 갈사왕의 손자 도두를 항복시킴으로써 갈사부여를 병합하였으며, 4년 뒤인 서기 70년에는 관나부 패자 달가에게 군사를 내주어 조나를 치고 그 왕을 사로 잡았다. 또 서기 72년에는 환나부 패자 설유에게 군사를 주어 주나를 치고 그 왕자 울음을 사로잡아 고추가로 삼았다.

 

이렇게 고구려의 세력이 크게 팽창하자 부여는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 화친을 제의하였고, 위기감을 느낀 동한은 고구려에 대한 대대적인 침략을 감행할 조짐을 보인다. 서기 105년에 고구려는 한의 요동을 선제공격하여 6개 현을 정복하였다. 고구려의 공격에 동한은 요동 태수 경기로 하여금 고구려군을 대적하게 하였다. 한동안 요동에서 세력을 다투던 고구려는 산동반도 쪽으로 진출하여 동해군을 점령하고 화북평원 쪽으로 세력을 넓혀나갔다.

 

이무렵 동한은 심한 내분을 겪고 있었는데, 서기 107년부터 시작된 농민봉기는 이후 80년간 100여 차례 계속되었고, 결국 184년에는 황진군의 대봉기로 발전한다. 이 같은 내분과 더불어 외척세력이 조정을 장악하자 왕은 환관세력과 결탁하여 조정은 극도의 혼란이 가준되고 있었다.

 

반대로 고구려는 7살에 왕위에 오른 태조왕이 93년 넘게 통치하면서 매우 안정되어 있었고 고조선의 고토회복에 주력하여 영토를 크게 확대하는 한편 동한의 세력을 능가하는 대륙의 강국으로 성장했다.

 

고구려는 서기 101년에 예맥과 현도 공략, 서기 118년에 다시 현도 화려성을 점령하자, 동한은 서기 121년 유주자사 풍환, 현도 태수 요광, 요동 태수 채풍 등의 군사를 동원하여 고구려에 대항하였으나 태조의 아우 수성의 맹활약으로 동한군 2천이 죽고 퇴각하게 되자, 동한은 광양,어양,우북평,탁군속국 등에서 병력을 차출하여 대항하였으나 별 성과가 없었다.

 

동한군을 패퇴시킨 고구려는 그해 4월 북방의 선비군 8천과 연합하여 동한의 요대현을 공격하였다. 이에 요동 태수 채풍이 호위군사 공조 경모,공조연 용단,병마연 공손포 등과 대항하였으나 신창에서 관리 1백 여명을 포함하여 모두 전사하였다.

 

그해 12월 고구려는 여세를 몰아 현도를 공략하여 현도성 수복을 눈앞에 두었으나 부여 왕이 아들 위구태에게 군사 2만을 주어 고구려군의 후미를 치는 바람에 고구려군이 철수하였다. 이듬해인 서기 122년 고구려는 예맥,마한군을 이끌고 동한의 요동을 공격하였으나 부여군의 방해로 현도 수복의 꿈은 실패하였다.

 

고구려는 현도 수복에는 실패하였으나 고토회복전쟁을 통해 요서와 산동 지역을 장악하여 동한의 세력을 위축시켰으며 북방의 선비와 연합세력을 형성하여 부여와 동한의 통교로를 완전 차단하였고, 광활한 화북 대평원을 점령하여 농업의 기반을 다지고 발해만과 동해를 접하여 어업을 활성화하는 등 백성들의 생활을 윤택하게 하였으며 국력신장에도  큰 성과를 거두었다.

 

이에 동한은 고구려에 화친을 제의하는데, <후한서>에는 아량을 베푸는 것처럼 묘사되어 있으나, "지금 이후로는 현의 관리와 싸우지 말 것이며, 스스로 친근함으로 함께 하며 살아 있는 자들을 돌려보내 주십시요. 그 환속 값으로 사람마다 비단 48필을 주고, 아이는 그 반으로 하겠습니다."

 

서기 122년에 동한의 안제 유고의 이름으로 보낸 이 화친 조건은 가히 굴욕적이었다. 하지만 이렇게 해서라도 동한은 고구려와 화의조약을 해야만 할 정도로 내부적으로 내분을 겪고 있었다.

 

이무렵 고구려는 태조왕이 노환으로 병석에 눕자 고구려 조정은 왕위 문제로 파벌싸움에 휩쓸린다. 태조왕이 병석에 눕자 모든 권력은 아우 수성에게 돌아갔으나 태조가 빨리 죽지 않자 수성은 왕위를 찬탈할 마음을 갖는데, 이는 주변의 신하들이 부추긴 결과였다. 수성은 이러한 가운데 태조왕이 승하하기만을 기다리며 세월을 보냈다. 태조왕이 백 살에 가까웠고, 수성 자신도 일흔을 훌쩍 넘겨버렸다.

 

한편 동한은 화의조약을 어기고 현도에 둔전육부를 설치하자, 태조는 서기 146년 8월 군사를 동원하여 한나라 요동 서안평을 공격하도록 하여 대방 현령을 죽이고, 낙랑 태수의 처와 아들을 붙잡아 온다. 이러한 가운데 수성은 모반을 실행에 옮기는데, 이 사실이 태조에게 보고되었으나 이미 모든 실권이 수성에게 넘어간 뒤라 태조는 아무런 힘을 쓸 수가 없어 상왕으로 물러나고 수성이 왕위에 오른다. 그후 태조는 별궁에서 세월을 보내다가 19년 후인 서기 165년 3월에 119세의 나이로 영광스런 생을 마감한다.

                                                                              -서초동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