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
소위 범여권 인사들의 차기 대선출마 선언이 러시를 이루고 있다. 15명이 거론될 정도로 범여권 대선주자들은 난립 양상이다. 이 가운데 친노(親盧) 인사들이 상당부분을 차지한다. 열린우리당 이해찬 전 총리가 어제 대선출마를 선언했고, 그제는 열린우리당 한명숙 전 총리와 김두관 전 행정자치부 장관이 대선에 출마하겠다고 밝혔다. 김병준 대통령 정책특보 겸 정책위원장까지 출마 의사를 내비쳤다. 김혁규 유시민 신기남 의원은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
대선출마 여부는 개인의 자유다. 아직 범여권의 구심점도 없는 상태다. 그렇더라도 지지율 1% 미만의 인사들이 대선주자 자격을 충분히 갖췄다고 자평하면서 앞다퉈 나서는 것은 모양새부터 좋지 않다. 이들은 경쟁적으로 대선 출마를 선언하기보다 뼈를 깎는 자성부터 하는 게 도리다. 대선을 6개월여 앞둔 현재 열린우리당이 왜 반토막이 났고, 차기 대선구도가 범여권에 불리하게 짜여진 이유는 무엇인가. 노무현 정부의 독선과 편가르기 정치 때문이다. 대선주자 반열에 끼어들려는 친노 인사들은 무엇보다 지금까지 노 대통령과 코드를 맞춰오면서 국민을 고달프게 하고, 이른바 민주·개혁세력 전체를 무능집단으로 낙인찍히도록 한 책임부터 공유하는 게 옳다.
그럼에도 이 전 총리는 “참여정부가 잘 가꾼 위대한 대한민국”이라고 말했고, 김두관 전 장관은 “참여정부 실패론에 맞서 싸워 승리하겠다”고 했다. 책임은커녕 고개를 뻣뻣이 들고 노 대통령 후계자임을 자부하고 있으니, 참담하고 기가 막힐 뿐이다.
친노 인사들의 대선출마 선언에는 범여권 후보 선출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차기 총선에서 살아남으려는 정치적인 계산이 깔려 있을 것이다. 대선판을 현 정부의 빈곤한 업적을 최대한 홍보하는 장(場)으로 활용하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이들로 인해 올 대선은 더 시끄러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