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
청년층의 고용 부진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는 소식이다. 거듭된 취업 노력이 수포로 돌아감으로써 아예 취업 의욕을 접었으며 결국 구직활동마저 포기한 순수 비경제 활동 인구가 지난해 415만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이는 전년에 비해서도 10만명 이상 늘어난 규모라니 우리 경제가 속으로 자꾸 곪아들어가고 있음을 말해준다. 그런데도 숫자상으로 실업률이 낮아진 것은 이들이 통계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올들어 지난 1분기의 실업률은 3.6%로 지난해 같은 기간(3.9%)에 비해 0.3%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현상은 무엇보다 경제 불확실성의 증가와 산업 구조의 변화에 기인한다. 외환위기 이후 기업이 줄줄이 쓰러진 데다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겪는 과정에서 청년실업이 과거와는 좀더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우리 청년층의 고용률은 30% 수준에 머물러 미국이나 일본, 독일 등에 비해서도 훨씬 낮은 수준이다. 이처럼 전체 고용률에 대한 청년층의 기여도가 떨어진 것도 청년층의 비경제 활동 인구가 늘어난 결과임은 물론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일자리를 원하는 당사자들의 눈높이가 여전히 높은 것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급여 수준이나 근로조건이 맞지 않아 취업을 미루고 있는 이른바 ‘실망 실업자’도 우리 주변에 수두룩한 실정이다. 차라리 취업을 미루면서라도 좀더 안정적이고 만족스러운 일자리를 찾겠다는 뜻일 것이다. 그런 반면에 현장에서는 오히려 기술인력 부족으로 애로를 겪는 것이 우리 노동시장의 현실이다. 전반적인 고학력화에 따라 취업자의 기대수준이 높아짐으로써 노동력의 공급과 수요에 괴리가 생긴 때문이다.
청년 실업자의 양산은 결국 우리 경제의 활력을 그만큼 떨어뜨린다는 점에서도 시급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무엇보다 산학협동 과정을 활성화하며 기술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노동시장 환경을 신축적으로 개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정부도 단기적인 실적 위주의 전시행정에 그칠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