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대의 흐름과 변화/미래사회

디지털 복지사회를 위하여...

 

 

전문가 칼럼

디지털 복지사회를 위하여
서병조 정보보호기획단장
얼마 전 사법고시 1차 시험 합격자 명단에 전맹인(전혀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 2명이 최초로 이름이 올라 화제가 됐다. 이들은 기존 점자 문제지 외에, 문제를 읽어주는 음성지원프로그램을 탑재한 컴퓨터의 도움을 받아 합격의 영광을 안았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특수 소프트웨어인 화면 낭독 프로그램이 이들에게 법조인의 꿈을 이루도록 도와주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하며 장애인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다. 특수 키보드와 마우스, 점자정보단말기, 영상전화기 등 장애인을 위한 정보통신 보조기기는 몸이 불편해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하기 어려운 장애인들이 사회와 소통할 수 있도록 해준다. "장애인들에게 컴퓨터는 그 자체가 즐거움이고, 사회로 나오는 통로가 되는 셈이죠." 홈페이지에 장애극복 체험수기를 올리며 장애인의 고통과 희망을 나눠 화제가 됐던 한 어르신의 말씀이 이를 잘 말해 주고 있다.

현재 정보통신부가 시범사업으로 실시하고 있는 '통신중계 서비스'도 그 중 하나다. 말을 못하거나 듣지 못하는 장애인들이 문자나 수화로 통신중계센터의 중계사에게 메시지를 보내면 그 메시지를 통화 상대방에게 음성으로 전달해준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의사소통을 지원해주는 서비스인 것이다. 평소 전화로는 엄두도 못냈던 쇼핑이나 친지안부, 취업문의, 병원진료 확인 등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어느 20대 청각장애인은 이 서비스 도움으로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는 어엿한 사장이 되기도 했다.

정통부는 이처럼 장애인 누구나 정보통신 기기를 더 손쉽게 활용하게끔 하는 '디지털 기회 확대' 정책을 꾸준히 추진해 오고 있다. 그 결과, 장애인 인터넷 이용률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46.6%, 가구 PC 보유율은 68.7%로 2002년보다 각각 24.2%p, 12.%p 늘어났다.

맞춤형 정보화교육과 IT전문교육도 확대해 지금까지 교육받은 장애인 수가 25만여 명에 이른다. 특히 중증 장애인에게는 '일대일 방문교육'을 실시해 정보화 활용 능력을 높이고 취업기회를 제공하는 등 삶의 질 향상에도 크게 도움을 주고 있다. 올해부터는 IT 활용능력이 뛰어난 장애인들에게 웹마스터나 3D애니메이션 과정 등 IT전문교육을 강화할 예정이다. 장애인의 취업과 창업을 돕기 위한 5~6개월짜리 중장기 전문교육도 마련해 놨다.

정보통신 보조기기가 아무리 좋아도 너무 비싸면 자칫 '그림의 떡'일 수 있다. 실제로 국내 보조기기 시장 규모가 워낙 작다보니 가격이 비싸 생활이 어려운 장애인들은 선뜻 사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정통부는 지난해까지 스크린리더, 음성 출력기기, 영상전화기, 터치모니터, 특수키보드 등 보조기기 1만 여 대를 보급해 왔다.

디지털 복지사회는 '장애'가 더 이상 걸림돌이 되지 않는 세상이 돼야 한다. 정보를 얻는데, 첨단 IT 장비를 활용하는데, 누구든 장애받지 않는 따뜻한 디지털 복지사회야말로 우리가 목표로 두는 세상이다. 우리 국민 4명 중 3명이 인터넷을 쓰고, 초등학생부터 대학생의 거의 100%가 인터넷으로 세상과 교류하고 있다. 빛이 있으면 그림자가 있듯, 해킹과 바이러스 같은 디지털 부작용이 뒤따른다.

디지털 격차도 정부와 민간이 함께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다. 디지털 사회에서는 무엇보다 인본주의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누구든 언제 어디서나 정보화 혜택을 누리는 유비쿼터스 사회, 그 중심에는 '사람'이 있다. 이 것은 곧 정부가 추진하는 유비쿼터스 코리아의 철학이기도 하다.

정통부는 전맹인 법조인이 탄생될 수 있다는 희망을 시작으로,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정보통신기기와 서비스를 맘껏 이용할 수 있는 사회, 장애인들이 행복하게 사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다.
게시일 2007-04-24 16:5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