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향기마을
디지털 복지사회를 위하여... 본문
전문가 칼럼 | ||
![]() | ||
디지털 복지사회를 위하여 | ||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하며 장애인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다. 특수 키보드와 마우스, 점자정보단말기, 영상전화기 등 장애인을 위한 정보통신 보조기기는 몸이 불편해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하기 어려운 장애인들이 사회와 소통할 수 있도록 해준다. "장애인들에게 컴퓨터는 그 자체가 즐거움이고, 사회로 나오는 통로가 되는 셈이죠." 홈페이지에 장애극복 체험수기를 올리며 장애인의 고통과 희망을 나눠 화제가 됐던 한 어르신의 말씀이 이를 잘 말해 주고 있다. 현재 정보통신부가 시범사업으로 실시하고 있는 '통신중계 서비스'도 그 중 하나다. 말을 못하거나 듣지 못하는 장애인들이 문자나 수화로 통신중계센터의 중계사에게 메시지를 보내면 그 메시지를 통화 상대방에게 음성으로 전달해준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의사소통을 지원해주는 서비스인 것이다. 평소 전화로는 엄두도 못냈던 쇼핑이나 친지안부, 취업문의, 병원진료 확인 등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어느 20대 청각장애인은 이 서비스 도움으로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는 어엿한 사장이 되기도 했다. 정통부는 이처럼 장애인 누구나 정보통신 기기를 더 손쉽게 활용하게끔 하는 '디지털 기회 확대' 정책을 꾸준히 추진해 오고 있다. 그 결과, 장애인 인터넷 이용률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46.6%, 가구 PC 보유율은 68.7%로 2002년보다 각각 24.2%p, 12.%p 늘어났다. 맞춤형 정보화교육과 IT전문교육도 확대해 지금까지 교육받은 장애인 수가 25만여 명에 이른다. 특히 중증 장애인에게는 '일대일 방문교육'을 실시해 정보화 활용 능력을 높이고 취업기회를 제공하는 등 삶의 질 향상에도 크게 도움을 주고 있다. 올해부터는 IT 활용능력이 뛰어난 장애인들에게 웹마스터나 3D애니메이션 과정 등 IT전문교육을 강화할 예정이다. 장애인의 취업과 창업을 돕기 위한 5~6개월짜리 중장기 전문교육도 마련해 놨다. 정보통신 보조기기가 아무리 좋아도 너무 비싸면 자칫 '그림의 떡'일 수 있다. 실제로 국내 보조기기 시장 규모가 워낙 작다보니 가격이 비싸 생활이 어려운 장애인들은 선뜻 사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정통부는 지난해까지 스크린리더, 음성 출력기기, 영상전화기, 터치모니터, 특수키보드 등 보조기기 1만 여 대를 보급해 왔다. 디지털 복지사회는 '장애'가 더 이상 걸림돌이 되지 않는 세상이 돼야 한다. 정보를 얻는데, 첨단 IT 장비를 활용하는데, 누구든 장애받지 않는 따뜻한 디지털 복지사회야말로 우리가 목표로 두는 세상이다. 우리 국민 4명 중 3명이 인터넷을 쓰고, 초등학생부터 대학생의 거의 100%가 인터넷으로 세상과 교류하고 있다. 빛이 있으면 그림자가 있듯, 해킹과 바이러스 같은 디지털 부작용이 뒤따른다. 디지털 격차도 정부와 민간이 함께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다. 디지털 사회에서는 무엇보다 인본주의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누구든 언제 어디서나 정보화 혜택을 누리는 유비쿼터스 사회, 그 중심에는 '사람'이 있다. 이 것은 곧 정부가 추진하는 유비쿼터스 코리아의 철학이기도 하다. 정통부는 전맹인 법조인이 탄생될 수 있다는 희망을 시작으로,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정보통신기기와 서비스를 맘껏 이용할 수 있는 사회, 장애인들이 행복하게 사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다. | ||
게시일 2007-04-24 16:55:00.0 |
'시대의 흐름과 변화 > 미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약한 제조업,,,시드는 한국경제 (0) | 2007.05.03 |
---|---|
주식회사 미국과 한국 (0) | 2007.05.03 |
포스코.현대중 지분보유 기대효과 (0) | 2007.04.26 |
비움과 베품 (0) | 2007.04.24 |
기간산업 방어장치 위기 (0) | 2007.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