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
포스코는 어제 이사회에서 현대중공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사주 76만주를 시가로 매입하기로 결정했다. 현대중공업도 조만간 이사회를 열어 포스코 자사주 86만주를 매입하는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양사가 각각 사들일 주식은 총 발행주식의 1%로 상호 보유가 이뤄지면 의결권 있는 우호지분이 늘어나 M&A 대응능력도 그만큼 커지게 된다. 특히 외국계 자본 등의 적대적 M&A 시도 가능성이 끊임없이 대두되고 있는 포스코에는 적지않은 도움이 될 것이다.
포스코는 기업 사냥꾼들에 매력적인 기업이다. 엄청난 이익을 내면서도 외국인 주식 비중이 58.6%에 이르는 등 지분구조가 취약하기 때문이다. 미탈이 아르셀로를 인수한 데서 보듯 세계 철강업계에 덩치키우기 경쟁 바람이 불고 있다는 점도 포스코에 대한 M&A 시도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포스코로서는 경영권 방어가 더 이상 강 건너 불이 아닌 셈이며 이에 따라 그동안 국내외 우호세력 확보 노력을 기울여왔다.
적대적 M&A에 대한 우려의 대상은 포스코만이 아니다. 이미 SK와 KT&G 등이 외국자본의 공격으로 홍역을 치렀으며 삼성전자 등 대부분의 간판기업들이 경영권 불안을 갖고 있다. 문제는 마땅한 대응책을 찾기 어렵다는 점이다. 황금주ㆍ독소조항 등 제도적 장치가 없는 탓이다.
이런 상황에서 포스코와 현대중의 자사주 교차매입은 차선책이라 할 수 있다. 일본에서 많이 활용되는 이 방식을 우리도 적극 도입해볼 만하다. 다만 주식매입 자금 등 기업의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이를 덜어주기 위한 세제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가장 좋은 대책은 미국의 엑슨-플로리오법처럼 국가 기간산업에 대한 적대적 M&A를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