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조반정 (9)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905 : 조선은 어떤 사회였는가? 10 3. 끊임없이 이어진 역모와 반역 조선의 대표적인 반역, 반정을 살펴보면 대략 아래와 같다. 1차 왕자의 난(1392년) 태조 재임 시절 1차 왕자의 난은 1392년 8월 왕위계승권을 둘러싼 왕자들 간의 싸움으로 '방석의 난', '정도전의 난', '무인정사의 ..
한국의 역사 900 : 조선은 어떤 사회였는가? 5 2. 껍데기로만 이어간 왕조 오백 년 햇수만 길 뿐, 의미 없는 오백 년 위선의 역사 "내 어진에 일월오봉도를 그려 넣지 말라" 1849년 6월초. 충청감사 김수근이 병조판서인 김좌근을 급히 찿아왔다. 그들은 안동 김씨 집안이지만 한 살 터울이..
한국의 역사 758 : 조선의 역사 300 (제19대 숙종실록 6)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3. 노론과 소론의 성립 인조반정을 계기로 정권을 장악한 서인은 반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공신세력과 이를 관망하던 세력으로 분리되었다. 공신 세력을 공서 도는 '..
한국의 역사 711 : 조선의 역사 253 (제16대 인조 28) 남한산성 제16대 인조(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청나라(후금(의 건국 과정과 정묘, 병자호란 8 심하전역과 인조반정(계속) 광해군이 명의 파병 요구를 거부하려 했던 것은, 폐모논의와 궁궐 건설 문제 등 내정(內政)의..
한국의 역사 687 : 조선의 역사 229 (제16대 인조실록 4) 남한산성 제16대 인조실록(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1. 무력 정변으로 광해군을 폐출시킨 능양군(계속) 상황이 이처럼 급변하자 능양군을 비롯한 역모 세력들은 이듬해인 1623년 3월 13일 새벽에 거사를 도모하기로..
한국의 역사 686 : 조선의 역사 228 (제16대 인조실록 3) 남한산성 제16대 인조실록(1595~1649년, 재위: 1623년 3월~1649년 5월, 26년 2개월) 1. 무력 정변으로 광해군을 폐출시킨 능양군 선조의 선위 교지를 받지 못하고 인목대비의 언문 교지로 가까스로 왕위에 오른 광해군은 등극하자 마자 곧 자신..
한국의 역사 676 : 조선의 역사 218 (광해군일기 4) 제15대 광해군 일기(1575~1641년, 재위: 1608년 2월~1623년 3월, 15년 1개월, 유배기간 18년) 2. 실리주의자 광해군의 과감한 현실정치(계속) 광해군의 실리적 정치관은 도성을 옮기는 계획으로도 이어졌다. 당시 일반에는 이씨 왕조의 기운이 다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