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목록남북국시대론 (4)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230 : 발해의 역사 33 (발해사 인식의 변화 과정 7)
한국의 역사 230 : 발해의 역사 33 (발해사 인식의 변화 과정 7) 1950년에 제기되었던 '통일적다민족국가론'은 1980년말 다시 '비효통'의 '중화민족의 다원일체격국론(多元一體格局論)'으로 발전하였다. 그는 "중화민족은 한족을 비롯해 층차가 다른 50여 개 민족을 포함하고, 각 민족 또한 내부에 층차(層次)..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2011. 5. 2. 03:22
한국의 역사 226 : 발해의 역사 29 (발해사 인식의 변화 과정 3)
한국의 역사 226 : 발해의 역사 29 (발해사 인식의 변화 과정 3) 2. 식민사학 안티테제로서의 발해사 해방을 맞이한 한국에서는 이제 일제의 식민사학을 극복하고 독립국가로서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새로운 역사서술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중세적 역사인식의 잔존과 식민지적 근대의 역사인식이 혼재된 ..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2011. 4. 28. 03:25
한국의 역사 225 : 발해의 역사 28 (발해사 인식의 변화 과정 2)
한국의 역사 225 : 발해의 역사 28 (발해사 인식의 변화 과정 2) 일본의 근대사학은 서양사의 실증적.합리주의적 방법론을 수용하였기 때문에 전통적인 한학과 국학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한편 청일전쟁 전후라는 시대적 분위기로 인해 연구 대상이 한국에 집중되면서 근대사학은 한국사 연구라는 형태..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2011. 4. 27. 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