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46 : 고구려 역사 29 (제24대 양원왕) 본문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한국의 역사 46 : 고구려 역사 29 (제24대 양원왕)

두바퀴인생 2010. 10. 20. 01:32

 

 

 

 

한국의 역사 46 : 고구려 역사 29 (제24대 양원왕) 

 

제24대 양원왕

 



 

                                          

     광개토태왕릉비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현[集安縣] 퉁거우[通溝]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대왕의 능비(陵碑). 비신(碑身) 높이 5.34`m. 각 면 너비 1.5`m. 호태왕비(好太王碑)라고도 한다. 414년 광개토대왕의 아들 장수왕이 세운 것으로, 한국에서 가장 큰 비석이다. 제1면 11행, 제2면 10행, 제3면 14행, 제4면 9행이고, 각 행이 41자(제1면만 39자)로 총 1,802자인 이 비문은 상고사(上古史), 특히 삼국의 정세와 일본과의 관계를 알려 주는 금석문이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
History of Korea-476.PNG
476년 고구려 전성기 때의 지도
공용어 고대 한국어
수도 졸본 (기원전 37년 ~ 3년)
국내성 (3년 ~ 427년)
평양성 (427년 ~ 668년)
정치체제 군주제
인구 최대치
668년
69만호 (약 3,500,000명)
성립 기원전 37년
멸망 668년
초대 군주 동명성왕
기원전 37년 ~ 기원전 18년
최후 군주 보장왕
642년 ~ 668년
성립 이전 부여
해체 이후 발해, 신라

 

양원왕(陽原王, ?~559년, 재위 : 545년~559년)은 고구려의 제24대 군주이다. 안원왕의 맏아들이고, 는 평성(平成)이다.

 

안원왕 재위 3년인 533년에 태자가 되었다.

 

안원왕의 태자이지만 안원왕 사후에 바로 즉위하지는 못했다고 한다. 안원왕에게는 두 명의 아내가 있었는데, 안원왕 사후 서로 자신의 자식을 왕위에 올리고자 다툼이 있었고, 무력 충돌로 번져서 평성 태자 쪽이 승리하여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고 한다.

 

547년에 백암성을 고쳐 쌓고, 신성을 수리하여 전쟁을 대비하였다.

 

548년에 군사 6천 명으로 백제의 독산성을 공격하였으나, 신라의 장군 주진이 구원군을 이끌고 와서 실패하였다.

 

550년에 백제가 쳐들와서 도살성이 함락되었다. 이에 백제 금현성을 공격하였으나, 이 틈을 노린 신라군에게 고구려 두 성을 함락되었다.

 

551년돌궐군이 쳐들어와서 신성을 포위하였으나 승리하지 못하자 백암성으로 옮겨 공격하였다. 이에 양원왕은 장군 고흘에게 군사 1만 명을 주어 싸우게 하여 1천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 이 해에 다시 신라가 쳐들어와서 10개의 성이 함락되었다.

 

552년에 장안성을 쌓았다.

 

554년에 백제 웅천성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했다. 재위 13년인 557년에 왕자 양성(陽成)을 태자로 삼았다. 그 해 10월에 환도성의 간주리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사형당했다.

 

재위 15년인 559년에 죽었다.

 

동시대 백제, 신라

 

 

 

 

 

 

 

고구려 왕 계보도 (삼국사기에 의거)


            해모수═╤═유화부인(하백의 딸)

                            │

            소서노═╤═ 1.추모(BC37~BC19)═╤═예씨부인

                           │                                        │

                        ┌┴┐       2.유리명왕(BC19~AD18)═╤═송양왕의 딸  

                    비류 온조                                        

                         ┌─┬─────┬────---┬────-┼─────------┐      

                       도절 해명 3.대무신왕(무휼) 여진 4.민중왕(해색주) 재사═╤═부여태후

                                           (AD 18~ 44)               (44~48)                         │

                          갈사국왕녀═╣  ╠═ 원비                             ┌──────┼─────---┐

                                           호동  5.모본왕(해우). 6.태조왕(궁)  7.차대왕(수성) 8.신대왕(백고)

                                                        (48~53)             (53~146)        (146~165)         (165 ~ 179)

                                                                                    ┌┴┐                  │                          │

                                                                                 막덕   막근              추안                       ㅣ

                     ┌────────---┬───────────┬─────────────┴┐ 

            9.고국천왕(이이모)     발기                ╔═10.산상왕(연우)╤후녀(주통부인)    계수

       (179~197)║                                                  ║        (197~227)     │

                         ╚ 우씨왕후(우소의 딸)═══=====╝                   11.동천왕(교체)(227~248)

                                   ┌────────────────────--┼──┐

관나부인(장발미녀)══12.중천왕(연불)(248~270) ═╤═연씨왕후  예물  사구

                                                                                     │

   ┌───────┬───────────────------┴───┬──┬──l 

 (??) 13.서천왕(약로)(270~292) ═╤═우씨왕후(우수의 딸)  달가 일우 소발 공주(?)══명림홀도

                   ┌──────────--┴───-─┐                                                        (부마도위)

             14.봉상왕(상부)(292~300)                 돌고

                ┌┴┐                                                   │

               (?) (?)                                15.미천왕(을불)(300~331)

                                                                             ├───────────┐

                                                         16.고국원왕(사유)(331~371)            무

                                                ┌────────┴────┐

                          17.소수림왕(구부)(371~384)  18.고국양왕(이련)(384~391) 

                                                                                              │

                                                                            19.광개토대왕(담덕)(391~413)

                                                                                              │

                                                                            20.장수왕(거련)(413~491)

                                                                                              ├──────┐

                                                                                            조다                 승천

                                                                                             │

                                                                            21. 문자왕(나운)(491~519)

                                ┌──────────────────┴─────┐

           22.안장왕(흥안)(518~531)══한씨미녀                     23.안원왕(보연)(531~545)  

                                                                                                                │

                                                                                                      24.양원왕(평성)(545~559)

                                                                                                                │                           

                                                                                                      25.평원왕(양성)(559~590)

                                                                      ┌────────────┼───────────┬──┐

                                                         26.영양왕(원)(590~618)  27.영류왕(건무)(618~642)    태양  평강공주═온달

                                                                                                                │                                    │                       (부마도위)

                                                                                                               환권                    28.보장왕(보장)(642~668)

                                                                                                                                   ┌──┬──┼──┬──┐

                                                                                                                                 복남   임무   덕남   덕무  안승

 

 

   자살,타살 등 일찍 죽은 왕자

   타살된 왕, ══ 부부관계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는 2대 유리왕의 아들이자, 6대 태조왕의 생부입니다.

 

.왕족인 고추가(古鄒加) 돌고(固, ?~293)는 13대 서천왕의 차남으로 형인  14대 봉상왕에 의해 죽음을 당합니다. 15대 미천왕의 생부입니다.

 

. 장수왕의 아들조다(助多)는 생부인  20대  장수왕이  413~491년 오래 재위하는 바람에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먼저 죽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아들이  21대 문자왕(文咨王/?~519)으로  즉위하였습니다.

 

 

  현재 고구려의 영토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과대포장한 것에서 부터
                  지나치게 소극적으로 표현한 것까지 매우 다양하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고구려 전성기 

 

                 

 

 

 

  

               

                BC 2333년 고조선 건국

                BC 108년 고조선 멸망.

                BC 37년 부여의 왕족 주몽, 남하하여 졸본에서 고구려건국

                BC 18년 주몽의 아들 온조(소서노와의 아들) 백제건국

                003년 유리왕(주몽의 첫째부인 아들) 압록강 국내성으로 천도.
                022년 고구려, 부여 공격 대소왕 전사.

                242년 고구려, 요동의 서안평 공격
                313년 고구려, 낙랑군 멸망시킴
                391년 광개토왕 즉위, 백제공격
                400년 광개토왕, 비려 후연 부여 말갈 정복. 내몽고까지 진출. 신라침범 왜구 격퇴.
                414년 장수왕 즉위
                427년 평양천도, 한강유역 정복
                433년 백제-신라 동맹
                475년 고구려, 백제공격 백제 웅진천도

                554년 백제-신라 동맹 결렬
                590년 고구려 온달장군 아차성에서 전사
                598년 수나라와 1차전쟁 승리, 고구려 강이식 요서선제공격, 수문제 30만 대군궤멸.
                612년 수나라와 2차전쟁 승리, 수양제 요동성,평양성,살수대첩에서 을지문덕에 패퇴
                613년 수나라와 3차전쟁 승리
                618년 수나라와 4차전쟁 승리, 수나라 멸망시킴
                618년 이세민 당나라 건국, 고구려-당 우호관계맺음
                630년 부여성-발해에 이르는 천리장성 축조
                642년 연개소문 고건무 죽이고 쿠데타, 대당 강경노선으로 급선회.
                642년 연개소문, 신라 김춘추를 사로잡아 감금하고 신라공격.
                645년 당나라와 1차전쟁 승리, 요동성전투 연개소문. 안시성전투 양만춘.
                647년 당나라와 2차전쟁 승리, 연개소문.
                648년 당나라와 3차전쟁 승리, 연개소문.
                648년 신라-당나라 연합
                660년 신라-당나라 연합군 백제 멸망시킴
                661년 당나라군 평양성 포위했으나 패퇴.
                666년 연개소문 병사. 세아들 내분. 남생 당에 투항, 남건 설인귀에 대패.
                668년 당나라군, 안시성 부여성 함락. 신라 문무왕 평양성 함락. 고구려 패망.
                669년 압록강 이북 32개성 당나라와 계속 전쟁 - 검모잠등
                676년 고구려 마지막왕 보장왕 말갈과 연합 고구려부흥운동 실패.
                696년 거란 이진충 반란, 북경포위 측천무후와 전투끝에 패퇴.
                696년 걸사비우,대걸중상,대조영 이해고의 당나라군과 격전, 요동에서 당축출. 걸사비우 전사.
                698년 대조영, 진국이라 칭하고 건국. 송화강 연해주까지 정벌.
                713년 당나라 대조영을 발해군왕으로 칭하며 화친 제의, 대조영은 고려국왕 연호사용
                719년 대조영 죽음.
                732년 고려국(발해) 무왕 당나라 산동반도 공격.
                733년 신라-당 연합군 고려국(발해)공격, 발해-돌궐-일본과 동맹. 나-당에 대항.
                907년 당나라 멸망.
                926년 고려국(발해) 멸망.
                935년 신라 멸망.

                       

 

 

  

제24대 양원왕 실록

(?~559, 재위: 서기 545년 3월-559년 3월, 14년)

 

양원왕의 계속된 패전과 고구려의 위축

양원왕은 안원왕의 맏아들이며, 이름은 평성이다. 언제 태어났는지는 분명치 않으며, 모후에 대한 기록도 남아 있지 않다. 다만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지혜로웠으며 호방한 성격을 지녔던 것으로 전해진다. 안원왕 3년인 서기 533년에 태자에 책봉되었고, 545년 3월에 안원왕이 죽자 고구려 제 24대 왕에 올랐다.

 

그는 왕위에 오르기 전에 한 차례 홍역을 치른다. 부왕 안원왕이 병상에 있을 때 아우 세균이 반란을 일으켜 왕위를 찬탈하려 한 것이다. 세균은 기습적으로 난을 일으켜 반란초기에는 승기를 잡고 단숨에 궁궐까지 밀려왔고, 태자 평성은 금위병을 동원하여 가까스로 궁궐을 지켰다.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균의 군대는 궁지에 몰리게 되고 결국 3일만에 난은 진압됐다. 안원왕이 병중에 형제들끼리 난을 일으켜 싸움을 벌인 것은 고구려 조정을 크게 흔들어 놓았고, 양원왕의 위상도 크게 실추되었다.

 

양원왕이 즉위했을 때 국제정세는 큰 변화를 겪고 있었는데, 북위가 동위와 갈라져 세력이 크게 약화되자 북쪽에서 돌궐이 일으나 고구려의 서쪽 변경을 위협하였고, 진흥왕이 즉위한 신라는 국력이 급속도로 성장하여 고구려 변경을 노렸다. 또한 백제는 신라와 손을 잡고 고구려 공격에 박차를 가하였으며, 북쪽 변방에 물길과 말갈이 힘을 강화하여 남진하였다.

 

사방이 적의 위협에 놓이자 양원왕은 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전쟁준비에 돌입하였고 547년 7월에 백암성과 신성을 개축 및 수리한다. 그리고 이듬해 동예 지역에 주둔하던 군사 6천을 동원하여 아리수 이북의 백제 요새인 독산성을 공격하였다. 하지만 독산성을 함락시킬 무렵 신라 장군 주령(또는 주진)이 기갑병 3천을 이끌고 백제군에 가세하는 바람에 퇴각하고 말았다.

 

고구려,백제,신라가 한반도에서 치열한 각축을 벌이고 있을 즈음 중국의 정세도 심상치 않게 돌아가고 있었다.

 

북위가 동위와 서위로 분리된 이후 남조의 양나라는 동위를 공격하여 영토를 확장하고자 했다. 하지만 번번이 전쟁에서 패하는 바람에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있었는데, 547년 동위의 장군 후경이 동위의 실질적 통치자인 고징과 불화를 겪다가 하남지역 13개 주를 가지고 양나라에 귀순했다. 이에 양왕 소연은 그를 환대하였는데, 막상 양나라에 귀순한 후경은 그 곳의 복잡한 내부사정에 염증을 느께게 되자 모반을 계획하게 된다. 549년 군사를 일으켜 양나라 건강(남경)의 왕성을 포위하고 마침내 함락시켜 소연을 궁중에 연금하기에 이른다. 그 후 소연이 궁중에서 굶어죽자 스스로 왕위에 올랐는데, 이 때부터 양나라는 정권다툼의 각축장으로 변한게 된다.

 

그런데 중국은 남조의 혼란으로만 그치지 않았다. 550년 동위의 실력자 고환이 죽자 그의 아들 고양은 동위 왕 원선견을 폐위하고 자신이 왕위에 오른다. 그리고 그는 국호를 '제'나라로 칭하게 된다. 이렇게 되자 서위에서는 우문태의 아들 우문각이 왕위를 노린다.

 

중국 대륙이 급격한 변화를 겪자 고구려는 신경을 곤두세우며 중국 쪽을 경계한다.이를 눈치챈 백제는 550년 정월에 고구려의 도살성을 기습하여 함락시킨다. 이에 고구려는 보복전을 펼치며 백제의 금현성을 공격하였다. 이렇게 되자 고구려와 백제는 서로 전면전이 불가피하게 되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양쪽 병력은 피로에 지쳐갔다.

 

                             

 

고구려와 백제가 소모전을 벌이는 동안 신라는 양국의 전력이 약화되기를 기다리며 어부지리를 노리고 있었다. 그러다가 기습적으로 도살성과 금현성을 공격하여 고구려군과 백제군을 내쫒고 두 성을 차지하였다. 이 사건으로 백제와 신라의 동맹은 깨지고, 삼국관계는 새로운 국면으로 발전하게 된다.

 

신라의 강성으로 삼국관계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 무렵 또 하나의 세력이 고구려 서북쪽 변방을 향햐 몰려오고 잇었다. 북위의 멸망 이후 꾸준히 성장하고 있던 돌궐이 어느듯 거란을 뒤로하고 고구려의 국경을 위협하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551년 그들은 고구려의 국경을 넘어 침입해 왔으며, 9월에는 평양성 북쪽 신성을 포위하였다. 하지만 신성을 함락시키지 못하자 군대를 이동하여 백암성을 공격하였다. 이에 양원왕은 장군 고흘에게 군사 1만을 내주어 돌궐군을 치게 하자 고흘은 뛰어난 용병술로 적 1천을 죽이고 승리하였다.

 

그런데 신라는 이러한 고구려의 위기를 이용하여 한반도 쪽 변경을 침입하였다. 신라의 진흥왕은 거칠부를 수장으로 내세워 공략에 나섰고, 돌궐군과의 싸움으로 전력이 약화된 고구려군은 신라군의 침입을 막아내지 못하고 10개 성을 빼았겼다. 이로써 고구려의 한반도 쪽 영토는 평안남북도와 항해도,함경북도 지역으로 축소되기에 이른다.

 

이처럼 상황이 불리하게 전개되자 양원왕은 만일의 사태를 위해 더 안전한 새로운 도읍지를 물색하여 552년에 장안성을 축성한다. 이 무렵 신라는 백제와 싸움을 벌여 신주를 차지하고 더욱 세력을 확대한다. 이에 백제의 성왕은 진흥왕에게 회친을 제의하고 자신의 딸을 진흥왕의 후비로 시집보내 양국간에 결혼동맹을 맺었다.

 

하지만 백제와 신라의 관계는 이전같지 않았다. 이미 신라가 백제와 동맹을 파기했기 때문에 양국간의 결혼동맹은 큰 의미가 없었다. 그래서 백제 성왕은 왜에 왕자 창을 보내 원병을 요청허였고, 고구려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백제를 공략할 계획을 수립한다. 그런데 뜻밖에도 북제의 공격을 받은 거란 백성 1만여 호가 귀순해오는 바람에 백제공격계획을 뒤로 미루게 된다.그무렵 신라와 백제의 고나계는 더욱 악화되었는데, 554년 7월 백제의 성왕이 야음을 틈타 신라를 공격하려다가 되레 신라 복병에게 살해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에 고구려는 백제에 대한 대대적인 공격계획을 수립하여 554년 10월 백제의 요충지인 웅천성을 공격하였다. 하지만 위덕왕(왕자 창)이 이끄는 백제군에 밀려 퇴각하고 말았다.

 

이후 양원왕은 더 이상 백제 공략에 나서지 못하였다. 오랫동안 계속된 전쟁으로 병사들은 지쳐 있었고, 거듭된 패배로 사기는 완전히 땅에 떨어져 있었고, 중국 쪽의 정세도 불안하게 치닫고 있었다.

 

557년에 서위의 실력자 우문태가 죽자 그의 아들 우문각이 서위 왕 탁발곽을 죽이고 스스로 왕위에 올라 국호를 '주'(북주)라 하였다.

 

이렇게 하여 북조에는 북제와 북주가 건립되고 남조에서도 한동안 권력쟁탈전이 계속 이어지다가 552년에 상동 왕 소역이 후경을 제거하고 왕이 되자, 종실인 옹주 자사 소찰이 이에 불만을 품고 서위에 항복한다. 그리고 소찰은 서위의 군사력을 이용하여 소역을 제거한다. 하지만 소찰은 서위의 통제를 받는 허수아비에 불과하여 장군 왕승변과 진패선이 소역의 아들 소방지를 왕으로 옹립해 소찰에 대항하였고, 얼마 뒤에 진패선이 왕승변을 살해하고 다시 557년에 소방지를 폐위한 후에 자신이 왕위에 오른다. 또한 국호도 '진'으로 바꾼다. 이로써 중국은 북쪽엔 북주와 북제, 남쪽엔 진이 성립되어 남북조 시대는 막바지로 접어들었다. 

 

중국의 정세가 급변하고 있던 557년 10월에 고구려에서도 모반사건이 발생하여 나라를 뒤숭숭하게 만든다. 환도성의 장수 간주리가 흉흉해진 민심을 등에 업고 군대를 일으켰던 것이다. 하지만 반란군은 관군에게 진압되고, 간주리는 생포되어 처형됨으로써 가까스로 반란이 확산되지 않고 진압되었다. 

 

양원왕은 이처럼 많은 고난을 겪으면서 위태롭게 왕위에 머물다가 559년 3월에 생을 마감한다.

 

양원왕은 가족에 대한 기록은 거의 전무하며 한 명의 왕후에게서 아들 한 명을 얻었는데, 그 아들의 이름은 양성(평원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