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로 인한 여러가지 재앙이 계속되고 있다.
지구는 2012년 대재앙을 초래할 것이라는 예언들이 여러가지 나와 있기도 하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대홍수, 해성 충돌로 인한 지구 멸망, 대지진으로 인한 해일 등 등 여러가지 가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다. 또 고대 마야인들의 유적에서 지구 대재앙을 예언하는 사람들도 있었으며 종교적으로 일부 사이비 광신도들이 지구 대재앙과 멸망을 유포하기도 한다.
어찌했던 지금같은 추세로 지구가 계속 오염되어 간다면 멀지 않아 지구의 멸망은 불을 보는 듯 하다. 그래서 세계 각국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서 토교협약을 맺는 등 여러가지로 사전 대책을 강구하고 있으나 강대국들의 미온적인 참여로 지지부진하다. 그러나 환경에 대한 지구인들의 경각심은 많아 향상되어 앞으로는 녹색성장이 주도할 것이며 환경관련 규제가 강화될 것은 확실하다.

우면산의 여름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메탄 등 온실 가스의 농도 증가가 주목받고 있다. 유엔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에서는, 20세기 중반 이후의 관측되는 평균온도의 증가의 대부분은 인간의 활동으로 발생한 온실가스의 증가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지적하였다. 농업발전을 통해 숲이 파괴되면서 온실가스의 영향이 커졌다고 본다. 그 밖에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은 다음과 같다.
문제
지구 온난화가 야기하는 문제는 단순하게 분석하기 어려울 정도로 방대하다. 우선 기후와 해수면 상승에 관계된다. 만약 2040년에 약 3℃의 기온이 상승한다면 연간 10km의 속도로 기후대가 극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강우와 강설 양상이 바뀌고 현재와 다른 계절 변화를 가져와 극 지역의 빙하를 녹이고, 적도 지방에는 사막이 확장될 것이다. 또 지구의 대기 순환이 약해지고, 극지방과 적도 지방의 기온 차는 줄어들 것이다. 해수면 상승 그리고 무엇보다 기온이 상승하게 되면, 북극이나 남극에 있는 빙하가 녹게 된다. 만약 3℃정도의 기온이 상승할 경우, 북극에 있는 빙하는 대부분이 물에 뜬 빙산으로 녹더라도 해수면에는 영향이 없지만, 남극의 경우 대륙 빙하이기 때문에 녹으면 약 7m 정도의 해수면이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럴 경우 각 대륙의 해안가를 따라 실제 물 속에 잠기는 면적은 약 3%에 불과하지만, 전 세계의 대도시들의 대부분이 해안가에 발달하고, 따라서 인류의 약 1/3이 해안 지역에 거주하는 것을 감안하면 그 재앙은 엄청난 것으로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여 주고 있다. 한편 지구온난화는 인간 건강은 물론 산업 전반에까지 영향을 끼친다. 지구온난화가 이루어지게 되면 지구 내의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태풍이나 토네이도 같은 강력한 폭풍이 일어나게 되고 육지에 강타하게 되면 수많은 피해를 낳는다. 반대로 계속된 폭염으로 유럽에서 노인들이 죽고 사람들이 실신한다는 보도가 들려오곤 하는데 지구온난화가 이에 결코 무관하지 않다고 사례된다. 영국의 한 구호단체에 따르면 지구온난화로 인한 질병으로 21세기 말까지 사하라 남부지역에서 1억여 명이 사망할 것으로 예측했다.
원인
온난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메탄 등 온실 가스의 농도 증가가 주목받고 있다. 유엔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에서는, 20세기 중반 이후의 관측되는 평균온도의 증가의 대부분은 인간의 활동으로 발생한 온실가스의 증가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지적하였다. 농업발전을 통해 숲이 파괴되면서 온실가스의 영향이 커졌다고 본다.
지역별 온난화 및 영향
지구 표면 부근 온도는 2005년까지 지난 1백 년간 0.74 ± 0.18 ℃ 상승했다. 또한, 급격한 기상 변화의 원인으로 고려되는 등 세계 기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반도 주변
2007년의 일본 기상청 발표에 의하면, 한반도 부근 바다의 수온이 최근 100년 간 세계 평균 바다 수온 상승 온도인 0.7도의 2배에 해당되는 1.2도 ~ 1.6도 가량 오른 것으로 밝혀졌다. 2009년에는 대한민국에 가뭄을 발생시킨 원인으로 지목된다.
북극해
2008년 여름에 북극의 얼음이 모두 녹아 없어질 가능성이 언급되었다.
해결 방안
온실가스
지구 온난화는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하여 생겨난 현상이므로 근본적으로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를 제거 또는 억제하는것을 통해 해결하려는 방법이 있다. 현재 알려진 방법은 친환경 연료 개발(바이오디젤 등)이나 나무 심기 등이 있는데, 최근에는 독일에서는 해조류 번식을 통한 지구 온난화 해결을 도모하려는 방법도 있다. 또, 우주상에 태양열 반사판을 띄워 태양열 막기(우주 거울), 이산화탄소 해저 매장 등 다양한 새로운 방법들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생태계 파괴 우려나 엄청난 비용 등 문제점이 많아 실제 보편화된 것은 거의 없다.
국제 협약
국제적인 협약을 제정함으로서 지구 온난화 가속화를 막으려는 노력이 있다. 대표적인 노력으로서 교토 의정서(Kyoto Protocol)가 있다. 2007년에 인도네시아 발리 섬에서 열린 발리기후회의에서는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한 명확한 목표 설정이 없다면 세계가 해수면 상승, 빙하 해빙, 가뭄,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한 난민들의 이주로 곤란을 겪을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국제 협약을 통한 적극적 노력을 촉구했다.
하지만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한 국제 협약 참여에 미진한 일부 국가들을 지적하기도 한다. 미국이 대표적인 예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우에도 석탄 탄광 개발과 급속한 산림 파괴, 산업 개발로 이산화탄소 방출량 증가율이 세계 최고에 이르고 있지만 교토 의정서 기후변화협약에 서명 하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들 국가의 입장 표명이 앞으로 열릴 유엔 환경장관 회의를 앞두고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이들 국가의 참여가 '온난화를 극복하는 열쇠'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2007년에는 반기문 국제 연합 사무 총장이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에 직접적으로 환경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했다.

최근 지구 온난화와 엘니료 폭우로 인해 대만,중국,일본에서는 엄청난 재앙이 발생되었는데 다행히는 한반도는 그다지 큰 피해는 없었다. 그렇다고 한반도가 안전지대는 아닐 것이다. 이래는 이와 관련된 최근의 시론이다.
[사설] '온난화 태풍'과 '엘니뇨 폭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