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목록인종 (5)
향기마을
한국의 역사 767 : 조선의 역사 309 (제19대 숙종실록 15)
한국의 역사 767 : 조선의 역사 309 (제19대 숙종실록 15) 제19대 숙종실록(1661~1720년, 재위 : 1674년 8월~1720년 6월, 45년 10개월) 아래는 프로메데우스 신문에 연재된 엄균용씨의 '조선 붕당정치 해부' 에 대한 연재 시리즈 내용이다. 비교적 붕당정치의 역사와 흐름을 잘 이해되도록 작성된 글이..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2012. 11. 12. 05:51
한국의 역사 363 : 고려의 역사 131 (제17대 인종실록 10)
한국의 역사 363 : 고려의 역사 131 (제17대 인종실록 10) 제17대 인종실록 (1109~1146년, 재위 1122년 4월~1146년 2월, 23년 10개월) 4. 묘청의 난과 서경 세력의 몰락(계속) 민족사학자 신채호는 이 묘청의 난을 낭불양가 대 한학파의 싸움이며, 독립당 대 사대당의 싸움이고, 진취사상 대 보수사상의 싸움으로 규정..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2011. 9. 17. 02:04
한국의 역사 236 : 고려의 역사 4 (개요 3)
한국의 역사 236 : 고려의 역사 4 (개요 3) 광종의 개혁 정치 태조의 뒤를 이은 혜종과 정종 때에는 왕권이 불안정하여 왕족들과 외척들 사이에 계승 다툼이 일어났다. 이러한 왕권의 불안정은 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하는 과정에서 호족 세력을 규합하기 위하여 취하였던 혼인 정책 때문에 나타난 부작용..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2011. 5. 11. 00:33
'뜻으로 본 한국역사' 9
'뜻으로 본 한국역사' 9 고려자기 속에 숨은 빛 국민이상의 죽음 이렇게 보면 고려의 역사가 인종 때부터 감자기 곤두박질을 치는 어려운 형세로 어지러움에 빠지는 것이 조금도 이상할 것이 없다. 개인이나 국민이나 삶을 빛나게 하는 것은 산 이상이다. 그려 사람에게 민족 발전의 큰 이상이 있을 때..
시대의 흐름과 변화/좋은 책, 요약,그리고 비평
2007. 11. 7. 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