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한국의 역사 1,030 : 일제강점기 75 (태평양 전쟁과 일제의 패망 1)

 

 

 

한국의 역사 1,030 : 일제강점기 75 (태평양 전쟁과 일제의 패망 1)

 

           

 

 

태평양 전쟁

 

태평양 전쟁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부)
PacificWar artwork.jpg
날짜 1937년 7월 7일 ~ 1945년 8월 15일
장소 태평양 지역
이유 미국의 경제 제재와 석유 금수 조치에 대한 일본의 반발
결과 일본 천황의 무조건 항복 선언에 따른 일본제국의 패망과 종전
교전국
미국 미국
* 필리핀 필리핀 연방
중화민국 중화민국
영국 영국
*
Flag of the Federated Malay States (1895 - 1946).svg 말레이 연방
*
British Burma 1937 flag.svg 영국령 미얀마
* 영국령 인도 제국 영국령 인도 제국
네덜란드 네덜란드
* 네덜란드령 동인도 네덜란드령 동인도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뉴질랜드
소비에트 연방 소비에트 연방
(1945년)

일본 제국 일본 제국
* 만주국 만주국
* 몽강국 몽강국
* 왕징웨이 정권 왕징웨이 정권
*
Philippines Flag Original.svg 필리핀 제2공화국
*
1931 Flag of India.svg 자유 인도 임시 정부

프랑스 비시 프랑스
(프랑스령 섬 방위)

지휘관
미국 더글러스 맥아더
미국 체스터 니미츠
미국 조지 마셜
미국 어니스트 J. 킹
미국 헨리 H. 아널드
미국 알렉산더 "아치" 밴더그리프트
중화민국 장제스
중화민국 천청
중화민국 허잉친
중화민국 쑨리런
영국 아치볼드 웨벨
영국 루이스, 마운트배턴 백작
영국 윌리엄 슬림
오스트레일리아 토마스 블레이미
소비에트 연방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네덜란드 헤인 터르 포르턴
필리핀 에밀리오 아기날도

일본 제국 히로히토
일본 제국 스기야마 하지메
일본 제국 도조 히데키
일본 제국 야마모토 이소로쿠
일본 제국 우메즈 요시지로
일본 제국 나가노 오사미
일본 제국 시마다 시게타로
일본 제국 오이카와 고시로
만주국 장징휘
만주국 아이신교로 푸이

타이 쁠랙 피분송크람
1931 Flag of India.svg 수바스 찬드라 보스

병력
미국 미국 일본 제국 일본 제국
피해 규모
미국 미국
   106,207명 전사,
   248,316명 부상 및 실종.
중화민국 중화민국
   380만 명 가량 전사
   1500만 명 가량 민간인 사망.
소비에트 연방 소비에트 연방
   12,031명 전사 및 실종,
   24,425명 부상.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17,501명 전사.
영국 영국
   86,838명 전사(인도 식민지).
일본 제국 일본 제국
   1,740,955명 전사,
   393,000명 가량 민간인 사망.


1937년 7월 7일 일본 제국중화민국을 침략한 이후 1941년미국은 일본 제국에 경제 제재와 석유 금수 조치를 취하였다. 이에 반발한 일본 제국이 진주만을 공격하면서 미국이 참전하여 1945년 8월 15일 일본 천황이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기까지 태평양아시아의 영역에서 벌어진 전쟁을 태평양 전쟁(太平洋戰爭, 영어: Pacific War, 일본어: 太平洋戦争 (たいへいようせんそう))이라 한다. 당시의 일본정부는 대동아전쟁(일본어: 大東亜戦争 (だいとうあせんそう))이라 칭하기도 하였다.

 

 

 

일본과 중국의 충돌

19세기 말 중국의 혼란과 일본 제국의 제국주의화로 일본 제국이 조선을 식민지로 삼고 (1910년) 만주를 제국의 영향권에 넣는 동안 중국은 군벌의 난립으로 그 영향력이 약해져 있었다.

 

이 상황은 1920년대에 들어와 조금씩 바뀌게 된다. 1927년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당북벌에 나섰고, 장제스는 군벌들에게 충성을 요구하게 된다. 위협을 느낀 장쉐량이 장제스 쪽으로 기울자, 일본은 만주 사변을 통해 푸이를 황제로 하여 만주국을 세우게 된다. 일본은 국제 연맹을 탈퇴한다.

 

 

중일 전쟁

 1937년 일본이 중국을 침략하면서 중일 전쟁이 시작되었다. 중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이 일어났다고 보는 의견도 있다. 처음에는 일본군이 순식간에 베이징을 점령하고 더 나아가 중화민국 수도였던 남경을 점령한다. 거기서 일본군은 남경 대학살을 저질러 지금까지도 이슈가 되고있다.

 

하지만 중화민국도 수도를 내륙도시인 충칭으로 이전하고 영국령 버마와 연결되는 루트로 미국과 영국에 무기지원을 받았으며 곳곳에서 중국 게릴라들이 나타나 일본군을 괴롭혔다. 결국 중일전쟁은 장기화하게 된다.

 

확전

일본중일 전쟁이 장기전으로 접어들면서 전쟁을 위한 지하자원 및 원료의 부족으로 심각한 어려움에 부딪힌다. 게다가 미국중일 전쟁을 치르던 일본 정부에게 중 등 해외에 주둔하고 있는 일본 군대의 완전 철수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나라의 운명을 걸고 일으킨 전쟁이기에 이를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다. 결국 1939년 미일 통상 조약은 파기되어 양국 관계는 파국으로 치달았으며 미국은 일본에 대한 석유·철광 등 지하자원 수출을 완전히 중단한다.

 

일본은 전쟁에 필요한 철·석유·고무 등 물자가 부족해졌기 때문에 큰 충격을 받았다. 한반도나 만주 등에서 나오는 지하자원으로는 어림도 없었다. 그래서 일본은 이를 타개하기 위해 여러 가지 대책을 강구한다. 그 대안으로 내세운 것이 바로 프랑스 식민지 인도차이나 침공이었다. 석유·고무·철광 등의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일본이 선택한 방법이다.

 

그때, 유럽에선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여 독일군이 네덜란드, 벨기에, 폴란드 등을 모두 무너뜨리고 파죽지세로 서진, 프랑스를 정복하여 페탱을 중심으로 한 프랑스 괴뢰 정부를 세우게 된다.

 

이 무렵 독일에 일부 영토가 점령당한 프랑스로서는 인도차이나를 도저히 지켜낼 수 없었다. 결국 인도차이나에 있던 프랑스 세력은 일본군의 공격에 밀려 철수한다.

 

인도차이나 점령이 성공한 후에도 일본은 더욱 많은 곳을 침공하길 원했고, 인도차이나 점령 이후 일본 제국은 동남아시아 지역 일대를 점령하였다. 그리고 1941년 군인 출신인 도조 히데키(東條英機)를 수상으로 한 군부 내각이 들어섰다. 이들은 군부의 여러 인사 중에서도 매우 강경파로서 미국과 전쟁도 불사하려고 했다.

 

그리고 그것은 곧바로 진주만 공격(1941년 12월)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 사건으로 만 4년 8개월 동안 미국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게 된다. 야마모토 해군 제독 등 일본군 수뇌부들은 애초부터 미국과 일본이 산업생산력에서 비교가 되지 않기 때문에 장기전으로 가면 반드시 진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다만 미국이 유럽 우선 정책에 따라 독일이 휩쓸고 있는 유럽과의 전쟁에 집중하리라 생각했고, 단기결전을 통해 미국에게 치명타를 가하고 서부 태평양 지역을 점령한 뒤 요새화 시키면 독일과의 전쟁이 급한 미국이 휴전 협상을 통해 서태평양에서 일본의 세력권을 인정해 줄 것이라 생각했다.

 

 

 

 

 

 

진주만 공격

진주만 공격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의 일부)
미국 전함 애리조나는 일본군의 폭탄에 피격 받은 뒤 이틀 동안 불타올랐다. 함선 일부는 나중에 인양되었으나, 나머지 부분은 지금까지도 남아 있다.
미국 전함 애리조나일본군의 폭탄에 피격 받은 뒤 이틀 동안 불타올랐다. 함선 일부는 나중에 인양되었으나, 나머지 부분은 지금까지도 남아 있다.
날짜 1941년 12월 7일
장소 하와이 주 진주만
결과 일본의 기습 공격 성공, 미국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교전국
미국
미국
Naval Ensign of Japan.svg
일본 제국
지휘관
허스밴드 킴멜 (미국 해군)
월터 쇼트 (미국 육군)
야마모토 이소로쿠 (일본 제국 해군)
나구모 주이치 (일본 제국 해군)
이와사 나오지
병력
전함 8척
순양함 6척
구축함 29척
잠수함 9척
전투기 ~390대
항공모함 6척
전함 2척
순양함 3척
구축함 9척
전투기 441대
소형 잠수함 5척
피해 규모
총 사망자 군인 3581명 사망,
1247명 부상, 민간인 103명 사상.
전함 3척 침몰, 3척 손상
순양함 3척 침몰
구축함 3척 침몰
전투기 188대 파괴, 155대 손상
전투기 29대 파괴,
전투기 조종사 55명 사망.
소형 잠수함 5척 침몰
잠수함 승무원 9명 사망, 포로 1명


진주만 공격(한자眞珠灣攻擊, 일본어: 真珠湾攻撃 (しんじゅわんこうげき), 영어: Attack on Pearl Harbor)은 1941년 12월 7일 아침, 일본 제국 해군 비행기들이 미국 하와이 주오아후 섬 진주만에 있는 미국군 기지에 가한 기습 공격이다.

 

1941년 12월 7일 아침, 일본 제국 해군이 진주만에 대한 공격을 가했다. 하와이 주 오아후 섬에 위치한 진주만에 대한 기습 공격은 미국 태평양 함대와 이를 지키는 공군해병대를 대상으로 감행 되었다. 이 공격으로 12척의 미 해군 함선이 피해를 입거나 침몰했고, 188대의 비행기가 격추되거나 손상을 입었으며 2,403명의 군인 사상자와 68명의 민간인 사망자가 나왔다. 야마모토 이소로쿠 사령관은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의 시작으로 폭격을 계획하였고, 나구모 주이치 부사령관이 지휘를 맡았다. 일본군은 이 작전에서 64명의 희생자를 내었다. 항구에 있지 않았던 태평양 함대항공모함 3척과 유류 보관소와 병기창 등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 미국은 이와 같은 자원을 이용해서 6개월에서 1년 사이에 원상복구를 할 수 있었다. 미국 국민들은 진주만 공격을 배신행위로 보고, 일본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일치단결하여 복구에 전력을 기울였으며, 이는 훗날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이어졌다. 진주만 공격은 진주만 폭격, 진주만 전투 등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진주만 공격 또는 단순히 진주만이라고 더 자주 불린다.

 

 

일본의 준비

일본만주를 점령한 몇 년 뒤인 1937년부터 중국과 전쟁을 하고 있었다(중일전쟁). 1941년에는 일본과 미국과의 오래된 긴장이 더 고조되었다. 미국국은 일본에 무기 제조에 필요한 고철 수출을 금지했으며, 석유 수출 금지, 미국 내 일본 재산 동결, 일본 선박의 파나마 운하 통과 거부로 중국 내에서의 군사행동을 위축시키고자 했다. 1941년 11월 26일헐 노트를 마지막으로 외교적 노력은 절정에 다다랐고, 도조 히데키 수상은 자신의 각료들에게 이것이 최후통첩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석유 봉쇄는 유전이 없어서 대부분의 석유를 미국인도에서 수입하던 일본에게 치명적인 위협이었다. 일본의 지도자들은 세 가지의 선택을 할 수 있었다.

  • 미국영국의 요구에 응하여 중국에서 철수하는 것.
  • 유류 부족이 군사력 약화를 가져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
  • 충돌을 확대하여 동남아시아의 자원 획득을 시도하는 것.

일본의 지도자들은 이 세 가지 중에 마지막을 선택하였다.

 

진주만 공격의 목표는 미국의 태평양에서의 해군력을 무력화하여 전면전이나 동시 다발적인 준비된 공격을 잠시나마 막는 것이었다.

 

11월 26일은 일본의 연합 함대가 진주만을 향해 출정한 날이다. 일본은 미국이 제시한 헐 통지문 내용과 상관없이 그 이전부터 전쟁을 준비해 왔었다. 그 근거로 일본이 전쟁을 준비한다는 보고서를 주일 미국 대사관의 조지프 그루(Joseph Grew) 대사가 본국에 송신하였으나, 유럽 내 전쟁 문제에 몰두하던 미국 정부는 그것을 묵살하였다.

 

일본은 진주만의 수심이 15~30m밖에 되지않아 그정도 수심에서 어뢰공격을 하기위해 91타입 롱 랜스어뢰를 개조하여 어뢰머리에 충격완화장치와 수평안정장치를 장착하여 99식 함폭과 m5n기로 뇌격하여 30기의 어뢰중 27기가 적함에 명중하였다(2기 고장, 1기 불명중). 당시의 미국 어뢰 기술로는 67%가 고장이었다고 한다.

 

 

진주만 공격 직전상황

Battleship row.jpg

 

 

일본군의 공격 임박설에 대한 사전 정보들은 많았으나, 아무도 이 정보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1941년 1월 주일대사 조셉 그류는 일본군의 진주만 공격 계획 정보를 입수했다. 공격개시 수시간 전에 진주만 외곽에서 한 대의 잠수함이 발견되고 다른 한 대는 원인 불명인 채 침몰되었으며, 오아우 북쪽 해안 레이다 기지에서는 거대한 비행물체가 포착되었다. 많은 관리들은 일본군의 공격임박설을 알고 있었으나, 그 대상이 일본으로부터 5,000 마일 떨어진 진주만이 아닌 필리핀이라고 생각했다.

 

1941년 진주만의 일요일 아침은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하루의 일과가 진행되었지만, 진주만 북쪽 200마일에서는 차가운 물살을 가르며 항진하는 항모 위에서 항공기들이 발진하고 있었다. 일본군 항공기의 라디오에는 하와이 방송국에서 흘러 나오는 달콤한 음악이 들려 오고, 하늘에는 구름 한점 없어서 공격 목표물을 훤히 볼 수가 있었다고 그 당시 공격에 참가했던 일본군 해군 소령 미쯔오 후지다시는 회고했다. 심지어, 레이더에 일본군 전투기와 폭격기가 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군은 당일 아침녘에 오기로 한 B-17 폭격편대로 오인하게 된다.(이 문장은 전쟁영화로 마스터하는 제 2차세계대전에서 따옴)

 

 

미국의 피해 현황

 

 

침몰 함선

함명 종류 번호 기준 배수량 (톤) 비고
네바다 전함 BB-36 27,500 1942년 2월 12일 인양. 수리 후에 1942년 12월 전열 복귀
오클라호마 전함 BB-37 27,500 1943년 12월 28일 인양.
1946년 12월 해체를 위해 본토로 이동 중 1947년 5월 17일 태풍으로 침몰
애리조나 전함 BB-39 32,100 인양포기. 1961년 침몰 위치에 기념관 설립
캘리포니아 전함 BB-44 37,000 1942년 3월 24일 인양. 수리 후 1943년 10월 전열 복귀
웨스트버지니아 전함 BB-48 32,600 1942년 6월 8일 인양. 수리 후 1944년 7월 전열 복귀
오글라라 기뢰 부설함 CM-4 3,746 1942년 7월 3일 인양. 수리 후 1944년 2월 28일 전열 복귀
유타 표적함 AG-16 21,825 인양 포기. 원래 전함이었으나 1931년 연습 표적함으로 개조
합계 7척 1,182,271톤

 

 

파손 함선

함명 종류 번호 기준 배수량 (톤) 비고
펜실베이니아 전함 BB-38 31,400 진주만에서 수리 후 1942년 8월 전열 복귀
테네시 전함 BB-43 37,000 진주만에서 수리 후 미국 본토에서 현대식으로 개장. 1944년 2월 전열 복귀
메릴랜드 전함 BB-46 32,600 1941년 12월 20일 인양되어 수리 후 전열 복귀
롤리 경순양함 CL-7 7,450 1942년 2월, 미국 본토로 이동하여 수리. 수리 후 전열 복귀
호놀룰루 경순양함 CL-48 10,000 1942년 1월 2일, 진주만에서 수리 후 전열 복귀
헬레나 경순양함 CL-50 10,000 1942년 1월 5일, 진주만에서 수리 후 전열 복귀
캐신 구축함 DD-372 1,500 미국 본토에서 수리 후 1944년 2월 전열 복귀
구축함 DD-373 1,500 미국 본토에서 수리 후 1942년 가을 전열 복귀
다운스 구축함 DD-375 1,500 미국 본토에서 수리 후 1943년 11월부터 전열 복귀
커티스 수상기 모함 AV-4 8,625 1942년 5월 말, 진주만에서 수리 완료 후 전열 복귀
베스탈 공작함 AR-4 8,100 1942년 2월 말, 진주만에서 수리 완료 후 전열 복귀
합계 11척 149,675톤

 

 

진주만 공격 이후상황

루즈벨트 대통령은 12월 17일을 치욕의 날로 선포한 3일뒤, 미국 의회는 전쟁을 선포했으며, 미국인들은 일본이 본토로 쳐들어 올 것을 대비해 전쟁 준비를 했고, 애국심에 군대에 자원하는 사람도 많아졌다. 한인들은 진주만공격 이후 일본인에게 반감을 사게된 미국의 생각을 반겼으며 미 정부에 한인으로 구성된 미 육군부대를 훈련시켜줄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캘리포니아 주 방위군 휴스 대령은 한인 중대를 조직하는데 협조해 주겠다는 약속을 해왔으며 이에 나이가 18세부터 64세까지인 한인들 50명이 지원했고 중국인들과 필리핀인들도 가세하여 동양인 대대가 구성 되었다. 이 대대의 이름은 '맹호군'이었고 대대장은 김용성이었다. 맹호군의 정식 인가가 1942년 4월 26일에 나왔고 대대기가 수여되었다.

 

 

진주만 기습과 관련된 음모론

태평양 전쟁 발발과 관련하여 미국이 일본의 공격을 유도했다는 소위 “음모론”이 떠돌고 있고, 그중 하나가 진주만 공격 당시 미 해군이 일부러 격침되어도 상관없는 구식 전함들만을 배치했다는 주장이 있다. 실제로 애리조나호 등 정박 중이던 미군 전함들은 1941년 기준으로 취역한 지 30년 가까이 된 전함이었다. 가장 젊은 편인 애리조나호도 취역 연도가 1915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당시 상황을 모르는 오해에 불과하다. 미군1922년 워싱턴 군축 조약에 따라 1920년대 이후에 신형 전함을 한 척도 건조하지 못했다. 워싱턴 군축 조약 결과 미국을 비롯한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은 일정한 비율의 전함만을 보유할 수 있었을뿐더러 신형함 건조는 제한되었다. 이미 건조 중이던 전함 및 대형 중순양함은 1920년대에 항공모함으로 용도 변경되었다(1920년대와 30년대에 각국이 항공모함을 취역시킨 원인은 항공모함의 가치에 주목했기 때문이 아니었다). 일찌감치 군축 조약에서 탈퇴한 일본은 신형함 건조를 1930년대 초부터 진행해 왔으나, 미국은 1937년 이후부터 서둘러 신형함 건조를 시작했고, 1941년 12월까지 신규 건조된 최신형 전함은 단 2척이었다. 위의 피해 현황에도 나오지만, 전쟁 초기 군함이 부족했던 미국은 가능한 한 인양하여 수리한 후에 재투입했다. 문제가 된 구식 전함 가운데 애리조나호와 연습 표적함이던 유타호를 제외한 나머지 전함은 모두 일선에 복귀하였다.

 

뒤늦게 신형함 건조를 시작한 탓에 가용 가능한 군함은 구식함뿐이었던 미군이었지만, 일본군은 그 함대가 두려워 조기에 기습했던 것이다. 참고로 신형함 건조 시작 이후에도 미군은 전함이 모자라 진주만 공격 당시 파손된 구식 전함을 수리해서 다시 전투에 투입했다.

 

특히, 만약 미군이 일본의 공격을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었다면, 굳이 일본이 진주만을 습격하게 둘 필요도 없이 차라리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중간 해역에서 요격하여 참전 명분은 명분대로 얻고 훨씬 적은 피해로 일본을 무력화할 수 있었을 것이나, 실제로는 진주만이 궤멸만 간신히 면할 정도로 큰 타격을 입었다는 점에서도 미국이 일본의 공격을 유도했다는 설은 신빙성이 부족하다.

 

 

진주만 공격 후 일본인들의 피해

일본의 진주만 공격후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일본인들은 큰 반감을 사게 되었다. 미국정부는 이들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일본인수용소를 만들었고, 2차세계대전이 끝날때까지 일본인들을 강제수용시켰다. 당시 미국 내에 거주하던 한국인들도 일본인으로 분류되어 강제수용되었다.

 

 

애리조나호 기념관

진주만에 있는 애리조나호 기념관(USS Arizona Memorial)은 진주만 공격때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애리조나호의 이름을따서 만들었다. 애리조나호는 그 당시 공격을 받은 지 불과 9분만에 침몰하였고, 총 인명피해 2403명중 1177명이 이곳에서 일어났다. 선체를 옮기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가 그 위에 기념관을 만들었다. 이 기념관을 설계한 사람은 알프레드 프레이스이고 2차 세계대전 당시의 대통령인 루즈벨트가 1958년에 기념관 창설을 허용해서 그로부터 3년 후에 완공되었다.

 

 

미국의 참전

 

 

 

일본의 진주만 공격으로 가라앉은 애리조나호

 

 

미국은 일본의 진주만 공격으로 참전여론이 들끓었고 루즈벨트 대통령은 즉각 일본, 독일, 이탈리아를 상대로 선전포고를 하였다.

 

하지만 세계 1차대전 후 벌어진 전 세계적인 군축(독일과 일본은 군축에 참여하면서 몰래 군비를 키웠다.) 이후에 군사력 부문의 보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미국은 초반에 무척 고전하였다. 필리핀에 배치된 미군은 일본군의 공격에 견디지 못해 투항했고 맥아더는 도망치듯 필리핀을 떠났다. 일본은 태평양 함대가 충격을 벗어나지 못한 틈을 타서 서태평양 전역의 주요 지역을 점령하였다.

 

하지만 미국의 산업이 전시체제로 본격적으로 돌입하여 군수물자를 쏟아내기 시작하였고, 패전을 거듭하며 후진적 전술이 개량되었다. 게다가 미국은 통신기술, 레이더 기술 등 전자전 기술이 일본에 대해 우월하였는데 이는 전황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알래스카 알류산열도의 "아투 섬"을 두고 이를 점거 하고있던 일본군과 전투를 치르고 되찾은 경우가 있었다. 미국 역사상 국토가 처음 적국에게 점거된 경우다.

 

미국과 일본은 산호해 해전에서 공방전을 벌였고 곧 이어진 미드웨이 해전(1942년 6월 5일)에서 일본은 주력 항공모함 4척과 300기 이상의 비행기와 숙련된 조종사 등을 잃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되었다. 과달카날 전역(1942년 8월 ~ 1943년 2월) 등의 국지적 승리를 기반으로 미국은 역습을 계속하여 전황은 이후 일본에 결코 유리하지만은 않게 전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