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대의 흐름과 변화/생각의 쉼터

한국의 역사 1,022 : 일제강점기 67 (1930~40년대초의 민족통일 전선운동 1)

 

 

한국의 역사 1,022 : 일제강점기 67 (1930~40년대초의 민족통일 전선운동 1)

 

 

           

 

 

 

일제의 중국 침략과 병참기지화 정책

 

 

일제가 1931년 만주사변을 전후한 시기부터 1945년 광복될 때까지 한반도를 일본의 대륙 침략 및 태평양전쟁을 위한 전쟁 및 군수물자의 공급기지로 이용한 식민지 정책.

일제는 1931년 9월 18일 대륙 침략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할 목적으로 만주사변을 일으켜 이듬해 초 만주 전역을 점령하였다. 이 때를 전후해 일제는 한반도를 일제의 침략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병참기지로 만들기 위해 한반도의 북쪽에 전쟁물자를 공급할 수 있는 군수공장을 건설하고, 전시 식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산미증식계획, 농산물 강제 수매와 강제 공출 등을 통해 농촌 노동력을 착취하였다.

 

병참기지화정책은 일제가 만주사변을 일으키면서 침략전쟁 수행을 위한 병참기지로 활용하기 위해 한반도에서 취한 정책으로, 8·15광복 때까지 계속되었다. 여기에는 전쟁 수행을 위한 군수물자뿐 아니라, 인력의 강제 동원, 대륙 침략을 위한 식량 증산정책, 황국신민화 등 한반도에서 취한 각종 정책이 포함된다.

일제는 만주사변 이후 한국 농촌 부흥을 명분으로 내걸고 농촌진흥운동과 자력갱생운동을 전개하면서 통치 체제를 전체주의적 동원체제로 재편성하였다. 이어 일선융합(日鮮融合), 내선일체(內鮮一體) 등을 내세워 한국의 인력을 식량증산과 대륙 침략전쟁에 총동원하였다.

 

1936년에는 내선융화, 선만일여(鮮滿一如) 등의 통치방침을 세우고 민족말살과 황국신민화정책을 강행하는 한편, 중일전쟁이 일어난 1937년에는 신사참배와 모든 행사에 앞서 '황국신민의 서사(誓詞)' 제창을 강요하였다. 1938년에는 중국 침략을 위해 국가총동원법과 군수공업총동원법을 제정해 총동원체제 편성을 강행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1938년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1940년 국민총력조선연맹을 만들어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하였다.

 

또 만주와 한반도를 침략전쟁의 교두보로 만들기 위해 압록강과 두만강에 교량을 건설하고, 수력발전소를 건설하는 등 선만일체화정책을 추진하였다. 1941년 태평양전쟁을 일으킨 뒤에는 국방력의 근간이 되는 생산력 확충을 위해 국민총력운동을 전개하면서 전략물자의 증산, 근로자의 대량 징용, 학도 동원체제 구축운동 등을 추진하였다.

 

1942년부터는 수많은 한국인을 일본 각지의 탄광·광산·군수공장·비행장 등의 군사기지 공사에 강제로 연행하고, 1943년에는 의무병역제인 징병제를 실시해 적령기에 이른 청년들을 모두 전선으로 내몰았다. 1944년에는 학병제를 통해 대학생들도 강제 소집하고, 같은 해 8월에는 여자정신대근로령을 공포해 수십만 명에 달하는 미혼여성을 일본과 국내의 군수공장에 강제 취역시키거나 종군위안부로 연행하였다.

 

1945년에는 생활필수품 등 주요 물자를 철저히 통제하고, 놋그릇, 소나무 뿌리에 이르기까지 수탈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수탈해 군국주의 침략전쟁에 이용하였다.

                          

 

 

 

1937년 중일전쟁과  1941년의 태평양전쟁 기간 중에는 군량미 조달의 필요성에서 쌀에 대한 배급제도와 쌀.잡곡에 대한 공출제도가 시행되었다. 미곡증식계획도 다시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농민들은 스스로 생산한 쌀을 일제당국에 부락단위로 강제로 팔고, 필요한 식량을 배급받아 근근히 끼니를 이어가게 되었다. 그나마 태평양전쟁 말기에는 쌀배급 받기가 극히 어려웠고, 만주에서 들여 온 잡곡으로 연명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흰 쌀밥을 먹는 것이 소원이 된 것은 이때부터이다.

 

한편 일본자본가들의 과잉자본을 조선에 투자하고, 전쟁에 필요한 필수품 조달을 위해 군수공업을 위주로 하는 공업화 정책이 추진되었다. 농공병진이라는 그럴 듯한 슬로건이 내겅어지고 풍부한 공업원료와 수력자원 그리고 값싼 노동력이 일제의 공업화 정책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1930년대에 일본의 중요 독접기업인 미쓰이.미쓰비시.노구치 등이 들어와 공업과 광업의 여러 분야들을 지배하게 되었는데 수력발전은 노구치, 섬유.방직.술.제분.화약 등은 미쓰이, 맥주는 미쓰비시가 각가가 담당하였다.

 

공업화정책의 결과 한반도에는 새로운 공업지대가 형성되었다. 함경도 흥남을 중심으로 한 북부공업지대(금속.화학), 진남포.신의주를 중심으로 한 서부공업지대(금속.화학), 서울.인천을 중심으로 한 경인공업지대(기계.방직)가 그것이다. 한반도 북부에 공업지대를 만든 것은 지하자원과 수력자원(압록강 수풍 발전소, 부전강 발전소, 장진강 발전소)이 풍부한 여건도 있었지만, 국토의 균형적 발전보다 일본 독접자본의 이득을 위한 배려가 크게 작용하였고 만주와 중국 침략을 위한 근거리 지원 거리에 중점적으로 배치하였다.

 

1930년대에는 외형상 공업화가 급속히 진전되었지만, 소수의 일본인 공장이 방직.금속.화학.요업 등 중요 분야의 70~80%를 생산하는 파행적인 집중현상을 가져왔다. 이에 따라 경공업이 치중하고 있던 조선인 자본은 일본 대재벌과의 경쟁에서 열세하여 해가 갈수록 도산하는 사태가 속출하였다. 1942년에는 총독부의 기업정비령에 의해 강제로 문을 닫거나 기업을 정리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렇게 열악한 환경에서 조선기업인이 참여한 경공업분야는 정미소와 양조장이 가장 많았고, 그 밖에 고무.면직물.메리야스.실크.인쇄업 정도가 있었다.

 

그러나 일부 조선인 자본가 중에는 일본 독점재벌과 연계하여 발전해 가는 경우도 있었다. 조선석유주식회사(김성수.박흥식), 한강수력전기주식회사, 조선제철주식회사(김연수), 조선공작주식회사(김연수.박흥식.한상룡.민규식), 조선비행기주식회사(박흥식)등이 그것이다.

 

조선의 공업하는 결과적으로 일본 독접재벌이 성장하는 밑거름이 되었고 오늘날 일본 굴지의 대기업이 이때 급성장하였다. 조선인 노동자들은 단순 노동에 참가하여 고도의 기술 습독이 불가하였다. 8.15해방 직후 조선에서 성장한 미쓰이.미쓰비시 등 대재벌은 전후 일본경제를 이끌어가는 주역이 되었고, 기형적인 식민지적 공업의 유산을 물려 받은 우리나라는 그나마 남북이 분단되는 가운데 북부의 공업지대를 상실함으로써 한층 더 어려운 여건에 놓이게 되고 말았다.